
주요동향
주요동향
유럽 미래 투자 권고사항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07-21
- 등록일 2017-07-24
- 권호 99
□ EU 고위 자문단(High Level Group)은 「유럽 미래 투자 보고서: 실험-제조-응용(LAB-FAB-APP)*」를 통해
11개의 권고사항을 제시(‘17.6.)
* LAB-FAB-APP investing in the European future we want
※ 연구(LAB)와 제조(FAB)를 통해 모든 이에게 혜택을 적용(APP)할 수 있는 미래 사회 실현
○ 유럽 연합의 연구혁신 시스템을 미국 등 주요 상대국과 비교 시 연구자 수와 학술논문은 높은 반면, PCT 특허, 첨단기술 분야의
부가가치 비율은 저조
< 미국-EU 과학혁신 역량 비교 >
○ 이에, 고위자문위원단은 새로운 유럽연합의 연구 및 혁신을 위한 11개 제안을 제시
< 권고사항 >
순위 | 제목 | 내용 |
1 | 연구·혁신 | ◾ 연구과제 83%는 EU 지원이 없었으나, 다학제적 공동연구를 통해 개별국가 및 민간투자로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남(Horizon 2020 중간평가) 필요 |
2 | 미래 시장 창출 혁신정책 수립 | ◾ 창출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보다 신속하게 미래 시장 창출이 필요 것이 필요 |
3 | 변화를 주도할 | ◾ 기업가 정신 친화적 교육프로그램 강화 및 데이터 기반 오픈 사이언스 등 차세대 기술 교육 훈련 프로그램 필요 |
4 | 효과적 R&I 프로그램 기획 | ◾ 새로운 과제 공시, 제안서 평가 및 과제 지원방식을 도입 운영 필요 위원회 주체의 새로운 제안서 평가 |
5 |
임무지향적 접근 | ◾ 대형연구 및 혁신프로그램에 글로벌 도전 임무를 반영 생존율 3/4, 최초 양자컴퓨터 구축 등 |
6 | 펀딩구조 합리화 및 시너지 창출 | ◾ 기존 EU 펀딩구조는 매우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구분이 어려움 |
7 | 지속적 단순화 | ◾ 프로그램 접근성과 관리 비용 절감으로 프로그램 참여 극대화 |
8 | 유동성 및 시민참여 | ◾ 국가 및 다양한 사회 부문 간의 공동 창조를 촉진 |
9 | EU 및 회원국 간 R&I 투자 개선 | ◾ ERA 정책 달성은 EU와 회원국의 상호보완성이 우선임 |
10 | 국제협력 강화 | ◾ 다양한 프로그램의 국제협력 지원을 위한 단일 국제협력 펀드 마련 |
11 | 소통 개선 | ◾ 기술역량, 경쟁력, 혁신사례 등 파급효과에 대한 명확한 정의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