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세계 최고 로봇 사회 지원 정책의 가속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7-21
  • 등록일 2017-07-24
  • 권호 99

□ 일본 정부, 로봇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체계적 준비와 노력 활발


○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생산성 감소 등 여러 가지 사회 현안을 로봇 기술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 일본 정부와 업계는

    대응책을 꾸준히 강구


 - 일본재흥전략 개정안(‘14.6.)에서 ‘로봇에 의한 새로운 산업혁명을 실현한다’고 명기하며 로봇 대중화를 위한 발걸음을 재촉


 - 이후 ‘14년 9월부터 ‘로봇혁명실현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기술 개발과 규제 개혁 및 표준화 등을 논의한 결과 ‘15.1.23일

    ‘로봇신전략(ロボット新戰略)’을 공표


 - 이는 ‘20년까지 1,000억 엔(약 1조 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해 ‘12년 약 7,000억 엔 수준의 로봇시장을 ‘20년 2조 4,000억

   엔까지 확대하며 로봇 강국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


 - 또한 로봇신전략 기조에 따라 제조·서비스뿐만 아니라 폭넓은 분야에서 로봇 활용 촉진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15.8월부터 ‘로봇

    도입 실증사업’을 전개


  ※ 현재까지 약 250건 정도 사업을 지원


‘17년 로봇도입 실증사업은 지원대상과 규모를 더욱 확대하며 지원 강화


○ ‘로봇도입 실증사업’은 경제산업성과 로봇공업회가 로봇 개발기업을 대상으로 총 15억 엔(약 153억 원)을 지원해 실용화를 촉진

     하고 기업의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핵심 내용


 - △로봇 활용 영역 발굴과 촉진 △로봇 도입 전 타당성 등을 검증하는 2개 사업으로 구성 

 


< 로봇도입 실증사업 개요 >

 


※ 자료 : 경제산업성, 일본로봇공업회

 


 - 자동차 부품, 의료, 물류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활용 가능한 로봇개발 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은 1/2, 중소기업은 2/3의

   보조금을 지급


 - ‘17년에는 산업 현장뿐 아니라 △공공장소 활용 분야 △로봇 시스템 설계·구상 분야 등으로 지원 사업을 확대할 방침 

 

< '17년 로봇도입 실증사업 주요 내용 >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제조·서비스 등 산업 현장

 • 지금까지 로봇 도입이 더디게 진행된 영역의 저해 요인을 명확하게 파악
 • ‘17년에는 식품·화장품·의약품·서비스 산업으로 한정

 공공장소

 • 역·공항·호텔·쇼핑몰·음식점 등 사람이 밀집한 공공장소에서 안전 가이드라인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 로봇의 활용 가치에 역점

 로봇 시스템 구상·설계 등

 • 로봇을 설계·구상하는 시스템 기업과 연계해 산업용 로봇을 도입하는 경우


※ 자료 : 일본로봇공업회


4차 산업혁명의 마중물 ‘로봇’ 산업 경쟁력 확보는 국가 역량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


○ IoT‧인공지능 등 첨단기술과 결합한 로봇은 혁신창출의 근간이자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미래 국가 경쟁력의 척도


○ 이에 로봇 산업 육성을 종합적으로 컨트롤하는 로드맵(로봇신전략)을 수립하고 세계 최고 로봇 사회 실현을 위해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는 일본 정부의 행보 주목


○ ICT강국을 자부하는 우리나라도 꾸준히 로봇정책을 업그레이드 하고 있는 만큼, 실효성 있는 정책이 가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적 관리와 지원 강화


  ※ 소프트로봇 연구에 7년 간 125억 원 투자(‘16.7.), 지능로봇을 포함한 K-ICT 전략사업에 2,570억 원 지원(‘17.1.) 등


 - 로봇의 효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하는 동시에 부품‧SW‧제품‧서비스 등을 아우르는 로봇산업의 견실한

   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노력 경주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