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환경산업 시장 및 고용 규모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8-04
  • 등록일 2017-08-14
  • 권호 100

□ 환경성은 ‘15년 환경산업 시장규모 및 고용규모 결과를 발표(’17.7.)


1. 환경산업 시장


○ 환경 산업 시장규모는 ‘15년 104조 2,559억 엔으로 ‘00년 대비 약 1.8배 성장


 - 특히, 지구온난화대책 분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청정에너지 분야의 고용규모는 ‘12~‘15년 약 15만 명 증가


 - 전체 시장규모는 ‘00년 6.2%에서 ‘15년 11.3%까지 증가  

 


< 환경산업 시장규모 추이 > 

 

 


○ (환경오염 방지) ‘04년까지 시장규모가 감소하다가 ‘05년부터 무황 휘발유와 경유의 일제 공급으로 전체 시장 규모가 증가


○ (지구온난화 대책) 친환경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카 시장의 성장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향후에도 환경산업 전체를 견인할

     전망


 - ‘12년도에는 재생에너지 이용 분야가 급성장하였으며,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재생에너지를 거래하는 에너지 거래사업 확대


○ (폐기물 처리·자원의 효율적 이용) 4대 분야 중 시장규모가 가장 크고 ‘08년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여 환경산업의 성장을 견인

 
○ (자연환경 보전 분야) ‘10년까지 에코팜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농림수산업 분야가 증가

 


2. 고용분야


○ ‘15년 약 249만 명으로 전년대비 2.7% 증가하였으며, 역대 최대치 기록


○ (환경오염 방지) 무황 휘발유 및 경유의 1인당 매출액이 큰 데 반해, 고용규모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 고용규모는

     완만한 수준임


○ (지구온난화 대책) ‘13년부터 재생에너지 시장 규모가 크게 확대되어 ‘12~‘15년간 청정에너지 부문에서 약 15만 명 고용 창출

 
  ※ ‘12년도에는 재생에너지 이용 분야가 급성장하였으며,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재생 에너지를 거래하는 에너지 거래사업 확대


○ (폐기물 처리·자원의 효율적 이용 분야) ‘10~‘11년 쓰레기 처리장치, 리모델링, 100년 주택 증가로 고용규모가 증가했으나, ‘13년

     이후 자원·기기의 활용으로 감소


○ (자연환경 보전) 전체 시장규모는 ‘10년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감소하는 추세

 


< 환경산업 고용규모 추이 >

 

 


3. 수출입액 추정


○ ‘09년 리먼쇼크 후 경기침체 영향으로 감소되다 ‘10년 이후에 다시 증가하여 ‘15년 수출액은 약 15.7조 엔, 수입액은 약 3.5조

    엔 기록


4. 부가가치액 추정


○ 시장규모의 추이와 대체로 같은 경향이며, ‘15년 약 39.9조 엔을 기록


 - ‘15년 환경산업 경제파급 효과는 약 206조 엔으로 시장규모에 비해 2배 규모


 - 그 중 리폼·수리, 친환경자동차, 에코건축 등이 경제 파급효과가 높게 나타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