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과기기업 인큐베이터 13·5 발전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7-08-04
  • 등록일 2017-08-14
  • 권호 100

과기부는 혁신창업 생태계를 통한 경제 신성장 동력 육성을 위한 국가 과학기술기업 인큐베이터 13·5 발전계획을

   발표(‘17.7.)


1. 12·5 주요 성과


○ ‘15년 말 기준(화거센터 통계) 전체 인큐베이터는 2,530개 중 국가급이 736개로 고용 인력이 43,000명으로 전년대비 약 3배 증가

 
 - 경진기,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쓰촨성과 충칭시 및 성급 지역의 80% 이상에 인큐베이터협회체계 구축


 - ‘11~‘15년 누계 졸업 기업 수는 39,562개에서 74,838개로 증가

 
 - 5년간 누계 과기형 기업은 105,000개이며, R&D 투자 누계는 2,000억 위안에 달함


 - 국가 천인계획 창업인재는 1,350명, 창출된 일자리는 165만 개


 - 모바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바이오 의약, 로봇·스마트제조, 신소재, 현대농업, 항공우주, 문화 창의 등 전략적 신흥 산업

   확대


2. 13·5 주요 계획


 - (목표) 2020년까지 다각적 창업보육 서비스체계 개선


새로운 중개기관 체제 구축


 - 창업보육 매개체 1만 개, 국가급 인큐베이터 1,500개 이상, 국가 등록 대중창업공간 3,000개 이상


 - 30% 국가급 인큐베이터 과기창업 보육사슬 구축


 - 전문 인큐베이터 40% 이상, 특화 대중창업집결구 조성


인큐베이팅 성과 향상


 - 신규 인큐베이팅 창업기업과 창업단계 20만 개, 졸업 기업은 5만 개 달성


 - 인큐베이팅 기업의 R&D 투자 누계는 1,000억 위안 이상, 유효 지식재산권은 20만 건 이상


 - 일자리 300만 개 이상 창출, 대학생 창업 50만 명, 상장기업 2,000개 이상 달성


서비스 능력 제고

 
 - 국가급 인큐베이터와 국가 등록 대중창업 공간 중 50% 이상은 창업투자기능 확보, 60%는 공공기술 서비스 플랫폼 구축 또는

   공유


개방 수준 확대

 
 - 유학생과 해외 창업자 10만 명 중국 내 창업 유치, 해외 인큐베이팅 기관 100개 유치, 해외 인큐베이팅 기관 100개 설치


9대 중점임무 추진 

 

< 국가 과학기술기업 인큐베이터 13·5발전계획 9대 중점임무 >

 

중점임무

 

 주요내용

  대중창업 서비스, 인큐베이터의

다원화 발전 지원

 - ‘대중창업공간-인큐베이터-가속기(加速器)’ 창업보육사슬 구축 개선
 - 전문 인큐베이터 역량 확대, 다양한 인큐베이터 심층발전
 - 인큐베이팅 활동범위 확대, 다양한 신형 인큐베이터 구축

 금융서비스 최적화

 - 단계적 인큐베이팅 투자 서비스체계 구축
 - 인큐베이터 융자 서비스능력 제고
 - 창업 금융서비스 환경 최적화

 창업서비스 촉진

 - ‘중국 화거 창업 지도교수 행동’ 본격화
 - 관리서비스그룹의 직업화 건설 가속화
 - 창업자 수요 유도방향으로 부가가치 서비스 능력 제고

 개방협력 촉진

 - ‘인터넷 플러스’ 수단을 운용해 개방수준 향상
 - 인큐베이터 자원통합 연결기능 강화
 - 대중창업집결구 구축 추진

 지역협력 강화

 - 지역 인큐베이터 협력망 개선
 - 지역 간 인큐베이터 협력 유도
 - 중심도시의 주변 인큐베이터에 대한 확산 역할 발휘

 글로벌
네트워크 융합

 - 인큐베이터의 국제화 가속화
 - 인큐베이터 산업의 국제화 발전 촉진
 - ‘일대일로’ 인큐베이터의 국제협력 전개

 지속가능한 발전

 - 국유인큐베이터 개혁혁신 추진
 - 인큐베이터가 지속가능한 발전모델 모색
 - 인큐베이팅 모델의 지속적 혁신

 창업문화 번영

 - 다양한 창업보육 브랜드활동 전개
 - ‘창업중국’ 행동 본격 실시
 - 전시회 창업문화 건설 유도

 자율규범 강화

 - 인큐베이터 산업 조직역할 강화
 - 인큐베이터 산업표준 정비
 - 인큐베이터 산업 연구 지속 추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