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청정에너지 기술 시연 프로젝트 평가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8-25
  • 등록일 2017-08-28
  • 권호 101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오바마 정부의 청정에너지 기술 시연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기술상업화 및 혁신 촉진

   방안*을 제시(‘17.7.)


  * Across the “Second Valley of Death”: Designing Successful Energy Demonstration Projects


기술 시연은 신기술의 시장성과 적용 확대 가능성을 살펴보는 중요한 단계로, 청정에너지 기술 개발 및 보급 관련 기술 정보

    제공이 목적


 - 대규모 에너지 기술 특성상 기술의 시범 운영 과정은 소규모 실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없는 다양하고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청정에너지 기술개발 과정에서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기술 시연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번째 현상에 주목


  * 초기 창업 벤처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였다하더라도 사업화 단계에 이르기 전까지 넘어야 할 어려움


 - R&D 불확실성으로 인해 자본시장으로부터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본의 공급이 부족한 현상으로, 창업과정, 시연과정, 초기

   상업화 과정에서 주로 발생
 

 

< 청정에너지 기술 개발 3단계 ‘죽음의 계곡’ >

 


○ 오바마 정부는 ‘09년 경기부양법을 통해 청정에너지 기술 시연 프로젝트 투자를 추진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09~‘11년 사이의

    프로젝트 53건을 분석


 - 이 중 11건은 현재도 수행 중이며 28건은 완료, 14건은 중단됨

 
 - 민간파트너와의 비용 공유로 정부 비중을 최소 7%에서 최대 60~70%로 조정


 - 시연 사업 파트너는 주로 최종 사용자인 전력회사나 발전소임


 - 에너지부는 시연 결과를 공개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별도로 수행 

 


< 오바마 정부 시절 에너지부(DOE)의 시연 프로젝트 요약 >

 기술 분야

시연 프로젝트 수

평균 프로젝트

예산
(백만 달러)

 연방 프로젝트

비중
(평균치)

연방 프로젝트

비중

(중간값)

총 에너지부 예산
(백만 달러)

 첨단 청정석탄

6

$1,412.5

28.8%

26.0%

$1,753.8

 바이오에너지

2

$93.6

45.4%

N/A

$85.4

 첨단 지열

2

$28.5

43.4%

N/A

$26.5

 에너지 저장

16

$40.5

43.6%

47.9%

$156.6

 FutureGen 2.0

1

$1,774.8

59.1%

59.1%

$1,048.3

 산업 CCS

3

$358.1

64.7%

65.9%

$686.8

해양풍력

$14.5

64.4%

58.2%

$61.2

스마트그리드 

16

$53.4

49.1% 

49.9%

$422.9

 총계

53 

$248.5

47.9%

49.9% 

$4,241.5

 


향후 미국 청정에너지 정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


○ 종합적이고 전략적 혁신정책 수립을 위한 기술 시연 프로젝트를 보다 중시하고 다양한 포트폴리오 마련


○ 연방정부는 민간사업자와 공동투자를 확대하고, 민간 투자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


○ 전력회사 등 민간 파트너는 시연 프로젝트를 주도하여 발전소나 그리드 프로젝트 등에서 다양한 운영 경험 축적이 필요


○ 시연 프로젝트 초기 선정과정에서 증명되지 않은 기술에 대한 과도한 확대 적용에 유의


○ 에너지부와 다른 연방기관의 참여와 대안적 방안 요구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