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학술연구 대형 프로젝트 로드맵 공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08-25
- 등록일 2017-08-28
- 권호 101
□ 문부과학성 과학기술·학술심의회에서는 「학술연구의 대형 프로젝트 추진 관련 기본구상 로드맵(안) 2017」을
공개하고 일반의견 모집(‘17.7.)
※ 인류 발전에 기여하는 진리 탐구 및 과학에 대한 국민의 관심 제고 목적
○ 학술연구 대형 프로젝트는 최첨단 기술과 지식을 기반으로 미개척 연구과제에 도전하여 해당분야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세계의 학술연구를 선도
- 향후 사회와 국민의 폭넓은 지지를 얻으면서 장기적으로 전략적·계획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것이 필요
- 한편, 최근 경제 불황으로 인해 대형 프로젝트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가 갈수록 어려우나, 일본 뿐 아니라 세계 발전에 있어
지속적 추진이 중요
○ 대학 공동이용 기관과 공동 연구 거점이 중심이 되어 연구자 커뮤니티 협력을 위한 코디네이터 기능을 담당
○ 본 로드맵에서 취급하는 대형프로젝트는 일본 학술회의 「마스터플랜 2017」를 바탕으로 5~10년 이상, 수십 엔이 넘는 예산
규모 계획을 대상
※ 올해 2월 「마스터플랜 2017」에서 24개 분야 182개 계획 목록을 작성하여 그 중 28개를 중점대형연구계획으로 지정
- 평가 기준으로 연구자 커뮤니티 합의, 계획 실시 주체, 공동이용 체제, 계획의 타당성, 긴급성, 전략성, 사회 및 국민의 지지 관련
내용을 포함
< 평가항목별 구체적 내용 >
① 연구자 커뮤니티 합의 | ⑤ 긴급성 강점 및 비교우위는 무엇인가? |
② 계획 실시 주체 | ⑥ 전략성 키울 수 있는가 |
③ 공동이용체제 | |
④ 계획의 타당성 | ⑦ 사회 및 국민의 지지 설명할 수 있는가 국민에게 지지를 받을 수 있는가 |
○ 대형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사회·국민으로부터 충분한 지지, 전문가에 의한 객관적이고 투명성이 높은 평가, 관계부처 간 충분한
정보교환이 필요
< 대형프로젝트 로드맵 예시 >
※【평가①】
- 계획을 추진하는 데 있어 기본적 요건인 ①~④의 관점에 입각하여 평가결과 합계비율(%)에서 △의 비율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a, b, c로 분류(20% 미만: a / 20% 이상~40% 미만: b/ 40% 이상: c)
※ 평가결과에서 ◎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는 합의에 따라 평가결과를 1단계 상승(「c」→「b」,「b」→「a」)
시킬 수 있음.
※ 평가결과에서 △의 비율(%)이 각 구분의 기준이 되는 비율에 근접한(±5% 이내)경우 분류「a,b,c」가 적절한지 확인
※【평가②】
- 계획 추진에 있어 우선도를 확실히 하는 ⑤~⑦의 관점에 입각하여 평가결과의 합계 비율(%)에 대해 점수화한 후 점수가
높은 쪽부터 상위1/4을「a」, 중간 1/2을 「b」, 하위 1/4을 「c」로 분류
※ 각 평점의 비율(%)에 입각하여 점수화한 결과가 각 구분의 기준이 되는 점수에 가까울(±10점 이내)경우 분류
「a, b,c」가 적절한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