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래 디지털 제조업 일자리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UI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9-08
- 등록일 2017-09-11
- 권호 102
□ UI연구소와 맨파워 그룹은 향후 디지털 제조업에서 생성될 일자리 역할을 전망한 보고서*를 발표(‘17.8.)
* The Digital Workforce Succession in Manufacturing
○ 디지털 제조와 디자인 부문에 영향을 미칠 주요 동인과 미래 변화를 바탕으로 차세대 제조업에서 요구될 165가지 디지털 역할을
선정
- 업무를 디지털 디자인, 디지털 제조 및 공정, 디지털 제품, 디지털 스레드, 공급 네트워크, 디지털 기업의 6개 영역으로 구분
하고, 융·복합 관련 옴니(Omni) 분야 추가
-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디지털 제조 및 공정(28%)이며, 그 다음으로 디지털 스레드(digital thread, 21%), 디지털 기업
(16%) 순임
< 기술 분야별 165개 디지털 업무 분류 >
기술 분야 | 비중 | 주요 업무 내용 |
디지털 제조 및 공정 | 28% | 제조 및 공정 시스템(감시, 통제, 지원), 기반시설 |
디지털 스레드 | 21% | 보안, 데이터 과학 및 관리, 인공지능 |
디지털 기업 | 16% | 디지털 조직, 콘텐츠 관리, 리스크 관리, 연구 |
공급 네트워크 | 11% | 공급 체인 관리, 커넥티드 재고 |
디지털 디자인 | 10% | 디자인, 엔지니어링 및 분석, 제품 검증 |
디지털 제품 | 8% | 제품 서비스, 제품 피드백, 판매 후 서비스 |
옴니 | 6% | 통계 분석, 제품 수명 데이터 분석, 지속적 개선 |
○ 특히, 20개의 첨단 디지털 제조 역할에 대한 구체적 프로파일을 제공
< 기술 분야별 20개 디지털 제조 업무 >
< 디지털 제조 미래 직업 >
구분 | 기술 분야 | 내용 |
1 | 최고 디지털 책임자 | ▪ 디지털 제조와 디자인을 위한 전략과 정책을 주도 |
2 | 모델 기반 시스템공학 | ▪ 제품 및 시스템 개발·설계·분석·검증·운영 지원 분석 모델 개발 및 제품 성능 및 특성 파악 |
3 | 디지털 제조 엔지니어 | ▪ 기계적 수준에서 제조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 데이터 활용 촉진 |
4 | 디지털 스레드 엔지니어 | ▪ 제품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를 연결하고 수집하는 방안을 개발해 제품이나 공정의 계획, 관리에 활용 |
5 | 제조업 사이버보안 전략가 | ▪ 디지털 데이터 저장 리스크 평가, 사이버보안 전략, 실행방안 관리, 고객과 기업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책임 |
6 | 내장형 제품 고장예측 엔지니어 | ▪ 제품 고장이나 수리의 필요성을 예측하는 감지, 분석, 예측 시스템을 개발 |
7 | 가상·증강현실 시스템 전문가 | ▪ 제품이나 공정을 가상세계에서 구현하고, 전 세계의 고객에 관련 경험과 정보를 제공 |
8 | 예측적 유지 시스템 전문가 | ▪ 기존의 자산이나 기반시설에 센서, 분석 시스템, 진단 시스템을 활용해 시설의 성능과 유지 필요성 예측 |
9 | 머신러닝 전문가 | ▪ 데이터 공학과 과학기술을 적용해 인간의 의사 결정과정을 모방한 자동화 시스템 구성 |
10 | 디지털 트윈구조 건축가 | ▪ 복잡한 제품, 공정, 시스템의 복제본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연결망, 모델, 소프트웨어 표준 설계 담당 |
11 | 예측적 공급 네트워크 엔지니어 | ▪ 데이터 연결망, 시스템, 도구, 공정을 개발 |
12 | IT/OT 시스템 엔지니어 | ▪ 기업 정보 기술과 제조 운영기술을 연결하는 컴퓨터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구축·유지 활동을 조율 |
13 | 디지털 제조 자연모사 및 지속가능 전문가 | ▪ 생물이나 자연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모방하여 디지털 도구와 기술, 제품, 공정, 조직을 최적화 |
14 | 디지털 제조 조직변화 관리 전문가 | ▪ 기업의 구조와 운영, 문화, 학습, 소통, 인적자원 등 기업 관련 모든 요소를 발전시킬 방안 제시 |
15 | 기업 공급 네트워크 관리자 | ▪ 기업 파트너 간 협상, 네트워크 관리·평가를 통해 기업 활동에 핵심적인 공급 네트워크 관리 |
16 | 근로자 경험 디자이너 | ▪ 근로자의 인간적·기업적·기술적 수요를 파악하고 생산적이며 효율적 업무 환경 설계 |
17 | 디지털 공장 자동화 엔지니어 | ▪ 제조 생산성과 제품 품질을 향상시켜 자동화 시스테 개발 개선 및 보급 |
18 | 사용자 경험 건축가 | ▪ 3D 프린팅, 합성 생물학, 웨어러블 등 신기술을 실제 업무 환경에 적용할수 있도록 설계 |
19 | 협동 로봇 전문가 | ▪ 협동 로봇 플랫폼을 기존의 제조 및 자동화 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을 설계, 프로그래밍, 통합 |
20 | 기업 디지털 윤리학자 | ▪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기업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조언을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