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2050년을 향한 산업 메가트렌드」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스미토모 상사 글로벌 리서치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9-08
- 등록일 2017-09-11
- 권호 102
□ 스미토모상사 글로벌리서치(주)는「2050년을 향한 산업 메가트렌드」를 발표(‘17.8.)
○ (3대 거시트렌드) ‘50년 세계 인구는 100억 명에 근접하고, 주요국의 소득이 약 3배 정도 증가하며, 인구의 6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할 예상
○ IoT 및 AI의 발달은 공유경제의 놀라운 발전을 가져와 ‘50년 세계관이 크게 변화될 전망
- 디지털 데이터화, 센서에 의한 로그데이터* 수집, AI, Deep Learning 등 핵심요인이 미래를 결정
* 자연현상, 기기동작 등 동적데이터의 시작화
○ 향후 수급변화에 따른 사업기회를 구분하고 산업 메가트렌드로 모빌리티, 농업테크, 헬스케어 선정
- (단기적 과제) 에너지 부족, 광물자원 부족, 식량부족, 물 부족, 인프라 부족
- (중·장기적 과제) 온난화, 고령화, IoT화, 글로벌화, 제3차 산업화
< 산업 메가 트렌드 >
1. 모빌리티
○ 기존 자동차산업에 머무르지 않고 멀티모달서비스 사업으로 변화
- EV화, 자동운전화, 차 내 엔터테인먼트 발달, 공유 형태의 변화
< 모빌리티 산업 트렌드 >
자동차 자체의 변화 | 멀티 모달 시스템 실현 | 새로운 분야·주변 |
▪EV화 「수송 인프라」로서 자동화 나면 그것으로 끝이라는 발상 → 서비스 모델(Car as a Service) | ▪커넥티드 카 모빌리티 이용 가능 구축 | ▪드론 활용 :농업 가공 공장/ 창고/ 공장에 자동 발주, 자동 출하 |
2. 헬스케어
○ 모든 곳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예방 및 의료 제공
< 헬스케어 산업 트렌드 >
3. 농업테크
○ 농업의 고도화, 경영의 고도화, 농업 현장의 고도화
< 농업테크 산업 트렌드 >
구분 | 분야 | 세부내용 |
농업 Input의 고도화 | 종자 개발·개량 | - 유전자 공학 응용 |
비료, 농약 발달 | - 비료·농약 발달에 의한 수확량 증가 | |
경영의 고도화 | 농업경영의 가시화 | - 생산 실적/ 사업채산 수치화, 판매가격 예측에 입각한 계획, 농지(논밭)별 채산 관리 |
마케팅 | - 직접 유통 (판매자 → 소비자), 6차 산업화에 의한 고부가가치화, 안전·안심 및 추적성 확보 | |
농업현장의 고도화 | 농업 데이터 집적, 각종 판단 고도화 | - 인공위성·드론 카메라·농지 센서 등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 |
농지 정비·관개 정비 | - 분산된 농지의 일괄적 관리, 관개·농업용수 관리 | |
자동화·에너지 절약 | - 농기계 무인운행(야간 가동 가능) | |
식물공장 | - IoT/AI를 활용한 식물공장(Vertical Farming) | |
가축·낙농 | - 가축 개별관리, 영양·질병·발정기 인지, 질병 예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