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과학연구비 조성 사업 데이터베이스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7-09-22
- 등록일 2017-09-25
- 권호 103
□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은 논문데이터베이스(WoS)*와 과학연구비 조성사업 성과 데이터베이스
(KAKEN)을 통해 연구 활동 및 현황 보고서 작성(‘17.9.)
* Web of Science XML(자연과학계,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SCIE))
(1) 과학연구비 최신동향
○ 과학연구비는 일본의 논문 수 및 상위 10% 논문 수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나, 최근 증가율이 낮아지고 있으며, 타 연구비를 통해
발표한 성과가 커지는 상황
- ‘11~‘13년(3년 평균) 일본 논문의 과학연구비 비중은 52%, 상위 10% 논문에서는 60.4%를 차지
- ‘06~‘08년 대비 ‘11~‘13년 과학연구비가 기여한 논문 증가율은 7.4%, 상위 10% 논문 증가율은 5.4%로 과거에 비해 증가율이
크게 감소
< 과학연구비의 WoS 논문 수 내역 > | < 과학연구비의 Top10 논문 수 내역 > |
|
|
* W-K 논문: WoS 논문 중 과학연구비 조성사업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논문
(2) 분야별 연구원 구성
○ 연구자수는 의치약학 분야 연구원 수가 많고 수학·물리 분야의 연구원 수는 감소(5년간 감소율 약 10%) 그 다음으로 사회과학,
복합분야 공학임
- 증가율이 높은 분야는 복합영역(53.6%), 사회과학(40.6%)인 반면, 증가율이 낮은 분야는 이공계공학(9.5%), 생물학(11.9%),
수학·물리학(10.3%) 분야임
< 분야별 연구원 수 >
(3) 연구원과 연구 분야와의 관계
○ PM 및 참여연구원의 1개 이상 연구 분야 참여하고 있는 비율은 갈수록 증가
- 특히 직위가 높을수록 2개 이상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다년간의 연구를 통해 연구
내용이 변화하는 것에 기인
(4) 연구과제와 분야 및 논문과의 관계
○ WoS-KAKEN 논문 수가 많은 분야는 커뮤니티가 크고 신진연구자 비율이 큰 반면 Q값*이 높은 분야는 신진연구자 비율이 높고
커뮤니티가 작은 편임
* 논문 수에서 차지하는 상위 10% 논문 수 비율
< 항목별 상위 10위 분야 >
순위 | W-K논문 | Q값 | 국제공저비율 |
1 | 내과계 임상의학(4,598) | 종양학(165) | 천문학(601) |
2 | 외과계 임상의학(3,084) | 게놈과학(164) | 지구행성과학(437) |
3 | 기초의학(2,792) | 물리학(147) | 물리학(352) |
4 | 물리학(2,157) | 복합화학(143) | 환경분석학(327) |
5 | 복합화학(1,636) | 실험동물학(143) | 토목공학(325) |
6 | 약학(1,605) | 나노·마이크로과학(143) | 수학(324) |
7 | 생물과학(1,219) | 천문학(142) | 사회·안전시스템과학(292) |
8 | 기초화학(1,129) | 기초생물학(135) | 기초생물학(292) |
9 | 전기전자공학(1,059) | 기초화학(129) | 수권 응용과학(291) |
10 | 치의학(1,046) | 농학(129) | 실험동물학(2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