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에너지 정세 환경 변화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 에너지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9-22
- 등록일 2017-09-25
- 권호 103
□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은 제1회 에너지 정세 간담회에서 에너지 정세를 둘러싼 10대 환경 변화 논의 결과를 발표
(‘17.8.)
1. 유가는 100달러에서 50달러로 하락될 전망
○ 미국은 자원국 지위 확립(비중동지역 대두)
- 석유 및 천연가스 가격이 계속 하락하면, 원자력 및 석탄에서 가스로 전환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30년 이후 유가가
100달러로 오를 전망
2. 재생에너지 가격이 일본 외 지역 내 40엔/kW에서 10엔/kW으로 변화
○ 고정가격매입제도(FIT)를 통한 보조에서 자립하여 주력 전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송전선 부족 등 새로운 부담 문제 대두
- 일본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 존재
○ 재생에너지를 주력 에너지로 하기 위해서는 고비용 개선, 안정화 전원인 화력 유지 및 축전지 비용 감축, 기존 네트워크
재설계 등이 해결과제임
< 재생에너지의 가격 변화(‘00∼‘16) >
3. 자동차 산업의 EV화 경쟁 심화
○ 배터리가 실용화되어 재생에너지 100%도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으나, 배터리 가격은 여전히 고가
4. 탈원전을 선언한 국가가 많은 한편, 아직도 다수의 국가가 원자력 활용
○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탈원전으로 전환을 표명한 국가는 독일, 스위스, 대만, 한국 등이 있으며, 온난화 및 탈화석연료를 위해
원전을 선택하고 지원하는 국가도 다수 존재(안전, 비확산을 담당하는 인력 및 기술 유지가 공통과제)
5. 전면자유화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투자환경에 새로운 과제 대두
○ 한계비용이 0인 재생에너지가 확대됨에 따라 전력 도매가 하락으로 장기적으로 대형 전력투자가 어려울 전망
6. 미국 이탈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을 둘러싼 탈(脫)CO2 큰 흐름 유지
○ 미국은 중국, 유럽 이상으로 기술 선도를 선언
○ 일본도 FIT, 지구온난화대책세금으로 3조엔/년 규모의 경제적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도 설계가 과제로 부상
7. 세계 에너지, 전력 시장 확대
○ 일본 전력시장은 성숙기(약 1조 kWh)에 접어들었으나, 세계 시장은 현재 20조 kWh이고, ‘30년에는 30조 kWh가 될 전망
< 세계 에너지 전력시장 >
8. 중국 국영기업의 대두로 유럽 및 미국 내 에너지 기업의 M&A 추진
○ 이와 함께 국경을 초월한 투자에 착수하는 한편 일본의 전력 가스 산업의 해외 진출은 시작 단계
9. 금융 분야의 확대로 전 세계 에너지 선택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
○ 중국의 부상으로 에너지 금융제도 설계가 주목
10. 지정학적 긴장관계 심화로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국은 국가 차원에서 에너지 전략을 마련하고
경제영역을 확대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