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90년대 생 귀국 붐 조성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학망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7-09-22
- 등록일 2017-09-25
- 권호 103
□ 중국 정부는 최근 1980~1990년대 생 귀국 붐을 맞아 ‘인재 자석’ 효과 실현을 발표(‘17.8.)
○ 최근 선진국 경제 성장 증가율은 감소되는 추세이나, 중국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며, 대중창업 만중혁신 붐을 조성
○ 1978년부터 2016년 말까지 중국 출국 유학생 누계는 458만 명이고, 그 중 학업을 마치고 귀국한 유학생은 265만 명에 달함
- 학업을 마친 유학생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귀국 유학생과 출국 유학생 수의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
○ 출국 유학생의 증가율은 36.3%, 귀국 유학생 증가율은 58.5%임
- ‘16년 중국 출국 유학생 규모는 54만 명이며 이는 ‘12년 대비 14만 명 증가
- 귀국 유학생 규모는 43만 명으로 ‘12년보다 15만 명 증가
< 출국 유학생 증가율 > | < 귀국 유학생 증가율 > |
|
○ 도시별로 보면 북경(24.7%), 상해(13.8%), 심천(4.9%), 광주(4.6%) 순으로 비중을 차지
○ 귀국 유학생의 취업 기업 유형은 다양한 추세
- 사영과 민영기업(47.4%), 외상·홍콩·마카오·대만 독자기업(16.7%), 국유기업(15.9%) 순임
○ 산업별 창업분야는 IT·전자·통신·인터넷(19.8%), 서비스업(14.7%), 문화교육 (11.8%), 금융업(10.3%) 차지
○ 유학생 귀국의 주요 요인으로 문화적 요인, 중국 경제전망, 해외 내 유학생 취업 불리한 이유 등으로 도출
※ 출처 : 중국글로벌연구센터(CCG), <‘16년 중국 귀국 유학생 취업조사 보고서>
- 귀국 취업의 가장 큰 요인은 ‘정감과 문화요인 영향’이 43.7%를 차지
- 중국 내 전반적으로 양호한 경제전망, 정치 안정과 해외에서의 취업 불리가 각각 37.1%, 23.4%를 차지
- 그 밖에 중국 내 소셜 네트워크, 귀국 정책, 전공 취업전망, 국가 기여, 가족 만남 등으로 답변
○ 귀국 유학생 취업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
- (장점) 국제적 시각(85.9%), 언어(82.2%), 다양한 문화 교류 능력(79.5%), 국제 프로젝트 협력 경험(43.2%), 해외시장 소비자
수요 이해(34%), 전공우위(33.7%), 해외에서 필요한 기술획득 용이(30.8%)
- (단점) 중국 내 취업형세와 기업수요 이해 부족(65.9%), 귀국 시 학교 초빙 시기 미스매치(46.6%), 중국 사회 부적응으로 발전
기회 상실(45.3%), 해외 투자효율 저하(44.7%), 중국 내 시장 환경 미숙지(41%)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