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4차 산업혁명 대비 ‘17년 글로벌 IT 기업 M&A 트렌드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조선비즈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9-22
  • 등록일 2017-09-25
  • 권호 103

□ ‘인공지능(AI), 증강·가상현실(AR‧VR), 헬스케어’ 등에 주목하는 글로벌 메이저 기업


○ ‘17년에도 글로벌 IT기업은 차세대 성장 동력 확보와 新수익창출을 위한 선제적 M&A를 활발히 전개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캐쉬카우 창출에 매진


 - 세계 IT 산업을 대표하는 애플·구글·MS·페이스북 등은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인 AI뿐 아니라 AR·VR·헬스케어·보안 영역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기술 확보에 분주


○ (애플) 자사의 모바일 플랫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과 함께 최근에는 AR·헬스케어 분야로 관심을 확대하며 다양한 성장

    엔진 발굴에 주력


 - 시선추적을 보유한 센소모토릭 인스트루먼츠(SensoMotoric Instruments)와 수면 센서를 개발하는 베딧닷컴 인수가 인상적


○ (구글) M&A를 통해 혁신적이며 미래지향적 전략을 구사하는 대표기업으로 성장한 만큼, 과감한 투자 행보 지속


 - 상반기에는 모바일 플랫폼과 AI 분야에, 하반기에는 AR·VR, 헬스케어로 영역 확장


○ (MS) 8건의 M&A를 단행하며 가장 활발한 행보. 윈도우 환경 개선과 클라우드, AR·VR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생태계 확장 도모


 - 다양한 제품군(윈도 플랫폼, 오피스 365, 코타나, 홀로렌즈, 애저) 역량 제고에 필요한 기술에 높은 관심


○ (페이스북) AI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강화와 AR·VR 시장 주도권을 이어가기 위해 콘텐츠 제작 기술을 갖춘 스타트업을 인수

     하며 눈길


□ 삼성전자도 꾸준히 M&A 행보를 이어가며 글로벌 경쟁에 대비


○ ‘16년 하반기 비브랩스(AI 플랫폼)‧하만(자동차 전장) 등 주목할 만한 M&A를 성사시킨 삼성전자는 ‘17년 현재 대규모 인수

    사례는 없지만 꾸준히 투자가 이루어지는 상황


 - 美 사물인터넷(IoT) 스타트업 ‘퍼치’ 인수를 시작으로 VR 애플리케이션 앱 개발사 ‘VRB’, 그리스 음성기술 업체 ‘이노틱스’를

   인수하며 IoT·VR·AI 등 미래 기술력 보강  

 

< ‘17년 삼성전자 M&A 사례 >

 구분

 발표일

 피인수기업

 시너지 효과 예상

 기업명

 주요 기술

 삼성전자

 7.27

 이노틱스
(Innoetics)

 음성변환

(AI) 빅스비와 접목해

음성인식 기술고도화

 6.16

 브이알비
(VRB)

VR 앱 개발

 (AR·VR) 콘텐츠 개발

 2.5

 퍼치
(Perch)

 가정용 모니터링 장치

 (IoT) 모든 제품을

네트워크로 연결


※ 자료 : S&P Capital IQ


□ 미래를 대비한 전략적 ‘M&A’는 4차 산업혁명 길목을 선점하는 지름길 중 하나


○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인 AI·IoT 등의 시장창출이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기업은 이들 분야를 성장 모멘텀으로 확보하기 위해

    선제적 M&A 꾸준히 진행


 - M&A는 자사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며 미래 선도기술 확보, 새로운 융·복합 시장 진출 등 단기간에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인재를

   확보하는 등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적 수단


 - 세계 IT 시장을 대표하는 메이저 기업도 AI·자율주행·IoT·VR 등 급격한 기술발전에 대응해 유망 스타트업을 적극 인수


○ 국내 기업도 차세대 산업 트렌드를 미래 성장 기회로 삼아 새로운 비즈니스 발굴과 수익원 창출을 위한 선도적·능동적 투자를

    끊임없이 모색할 필요


○ (참고) 삼성전자는 투자벤처·펀드조성 등을 활용한 유망 스타트업 투자도 병행하며 미래기술력 확보에 총력


  ※ (삼성벤처투자) 삼성전자의 新수익창출을 위해 가교 역할 담당하는 벤처캐피탈. 삼성전자 외 삼성SDI·삼성전기 등 IT계열사와

      삼성중공업·삼성증권·삼성물산 등이 지분을 분할 소유


  ※ (삼성넥스트) 1억 5,000만 달러 규모의 벤처캐피탈 투자펀드로 AI, VR·AR, IoT 분야 등 스타트업 지원 약속. ‘CES 2017’에서

      설립 발표(1.5)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