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피츠버그의 글로벌 혁신도시 발전 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10-13
- 등록일 2017-10-16
- 권호 104
□ 브루킹스연구소는 최근 글로벌 혁신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피츠버그의 성장동력을 분석하고, 도시 내 혁신경제
성장을 위한 제언*을 발표(‘17.9.)
* Capturing the next economy: Pittsburgh’s rise as a global innovation city
○ 수운, 철강 등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던 피츠버그는 숙련된 노동자, 세계적 연구시설, 기술집약적 첨단제조업에서 지역
경제의 원동력을 창출
- ‘70~‘80년대 이후 철강 산업의 약화로 실업률이 18%에 이르는 경제적 불황을 경험
- 오늘날 과학기술 부문에 대한 적극적 R&D 투자로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1인당 R&D 투자액은 국가 평균치의 2.5배에
달함
○ 피츠버그가 혁신과 창업, 창조 활동의 세계적 중심으로 거듭난 데에는 오클랜드 혁신지구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
- 피츠버그대학교, 카네기 멜론 대학교와 같은 세계적 연구대학과 수십 개의 창업 기업, 협업 시설, 피츠버그대 메디컬 센터 등이
입지
- 혁신지구는 전체의 3%에 불과한 도시의 일부 지역이나, 전체 인구의 10%, 일자리의 29%, 펜실베니아 주 전체의 1/3에 해당하는
대학 연구 성과가 집중
< 오클랜드 혁신 지구 > | < 혁신지구 인근 지역> |
○ 피츠버그는 첨단산업, 대학, 창업 지원 시스템 등 혁신 자산을 바탕으로 세계적 혁신 경제 활동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고 평가
- Google, PNC, Uber 등 창업기업 및 대기업 활동이 활발하고, 대학 R&D 투자 기준 미국 내 100대 도시 중 9위에 해당
- 멘토링, 업무 공간, 자본, 인적 자본 유치 등 창업 지원 시스템 구축
○ (한계점) 연구-산업 간 연계 미약, 창업 생태계 미성숙, 인구 성장의 정체 및 지속적 숙련 노동자 확보 어려움 등 한계
직면
- 특허나 R&D 투자 등이 일자리나, GDP로 연계되지 않아, 대부분 첨단산업의 높은 연구 활동에 비해 고용 입지 계수*가 낮은
수치임
* 특정 산업이 지역 내 고용이나 연구 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전체 국가 비중과 비교해 상대적 집중도를 측정
< 피츠버그 대도시권 내 산업의 고용 및 연구 활동 >
○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도시 혁신 경제 촉진을 위한 사항을 제언
- 도시 내 첨단 제조업, 생명과학, 자동 시스템의 혁신 클러스터 지원
- 오클랜드 혁신지구의 전략 마련 및 타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도심과 주변지역에 고용 기회 제공
- 고성장 창업기업의 발전 단계별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창업 엑셀러레이터를 통해 의료 부문의 세계적 창업기업
지원
- 오클랜드 혁신 지구 내 기관, 고용자, 인력 발전 조직, 교육 기관 등으로 구성된 인적 자원 연대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