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세계 의료 부문의 민간 R&D 투자 현황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0-13
- 등록일 2017-10-16
- 권호 104
□ 브루킹스연구소는 세계 의료 부문 내 민간기업 R&D 현황을 살펴보고 민간 R&D 저해요인과 기회요인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17.9.)
* Private Sector Investment in Global Health R&D: Spending Levels, Barriers, and Opportunities
○ 의료 부문 R&D는 백신, 신약, 치료 도구 등 기술 개발을 통해 기대수명을 늘리고 질병 발병률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
○ 민간 기업은 매년 의료부문 R&D에 최소 1,599억 달러를 투입하고, 그 중 민간 제약회사 1,567억 달러, 벤처캐피탈과 임팩트
투자자*가 32억 달러를 지원
*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기업을 발굴해 기업에 투자하는 사람 및 기관
- 개도국 의료 R&D는 주로 치료법에 집중되어 있고, 총 투자액 59억 달러 중 민간기업 56억 달러, 벤처캐피탈과 임팩트 투자자가
2억 2,600만 달러 조달
< 2016년 민간 기업의 R&D 투자액 추정치(단위: 억 달러) >
구분 | 제약회사 | 벤처캐피털, | 전체 |
의료 R&D | 1,567 | 32 | 1,599 |
개도국 의료 R&D | 56 | 2.2 | 59 |
소외 질병 R&D | 4.7 | 0.4 | 5.1 |
○ 제약회사 R&D를 분류한 결과, 전체에서 서구권이 936억 달러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타 비서구권 제약회사(540억 달러), 중국
(72억 달러) 등의 순임
< 2016년 국가별 제약회사 R&D 투자액 추정치(단위: 억 달러) >
| 서구권 | 중국 | 인도 | 기타 | 전체 |
의료 제약회사 R&D | 936 | 72 | 19 | 540 | 1,567 |
전체 제약회사 R&D 중 특허를 받은 신약·백신 투자액수 | 126 | 16 | 950 | 27 | 170 |
특허를 받은 신약·백신에 대한 투자액 중 개도국 대상 R&D | 13 | 16 | 950 | 27 | 56 |
○ 2000년 이후 민간 R&D 투자 변화를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점으로 상승세가 완만
- 서구권 10대 제약회사의 R&D 투자액은 2000년 274억 달러에서 2016년 746억 달러로 빠르게 증가
- 2010년 이후 R&D 투자는 다소 둔화되었으며 이는 2008년 경제 불황 이후 생명과학 분야의 고용 감소의 영향
○ 민간 R&D 투자를 가로막는 저해요인과 새로운 R&D 투자기회를 분석
- (저해요인) 특정 질병에 국한된 시장, 막대한 신약 개발 비용, 거시경제의 불안정성, 지정학적 위험성, 투자를 지원하는 체계적
데이터의 부재, 질 낮은 정부의 보건 정책 등
- (기회요인) 신약개발 관련 기술적 진보, 인공지능의 새로운 발전, 중상위소득 국가의 성장, 비의료부문 투자의 파급효과
○ 민간부문 의료 R&D 투자를 막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
① 신약과 백신 시장이 특정 질병에 제한적으로만 기능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시장 마련 및 효과적 인센티브 제공
② 투자효과와 금융 수익에 대한 체계적 데이터 제공
③ 신약과 백신에 대한 임상 시험 등에 대한 신속한 규제 검토
④ 법인세 인하나 R&D 세금 인센티브를 통한 기업 R&D 촉진 법제 마련
⑤ 데이터마이닝과 소프트웨어를 바탕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⑥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가의 신약과 백신 개발 역량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시장 기회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