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양자과학기술의 중점 추진 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0-13
- 등록일 2017-10-16
- 권호 104
□ 문부과학성 양자과학기술위원회는 양자과학기술의 중점 연구추진을 논의(‘17.9.)
○ 양자과학기술은 고도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재료·제조·의료까지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비연속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큰 잠재력 보유
1. 양자 과학기술 분야의 주요국 연구개발 투자 현황
○ (미국) 양자 과학기술은 정보처리, 통신 분야의 엄청난 발전이 가능하며, 미국의 과학적 주도권, 국가안보, 경제적 경쟁을
구성하는 주요기술로 투자 우선분야 지정
- 국방성 및 NSF는 매년 2억 달러를 투자, DOE에서도 ‘17년부터 새로운 프로젝트 시작
- 양자센서, 양자통신, 양자시뮬레이터, 양자 컴퓨터 등을 중시
○ (EU) ‘16년 유럽위원회의 요구에 따라 Quantum Manifesto가 공표
- ‘19년 10억 유로 규모의 ‘Quantum Technology Flagship’ 프로젝트 착수예정(사업기간: ‘10년)
○ (영국) ‘15년 양자기술에 관한 대형 프로젝트 보고서 공표
- 양자기술에 관한 대형 프로젝트에 2억 7천만 파운드를 투자
○ (중국) 국가혁신 13차 5개년 계획의 중점분야로 양자통신, 양자컴퓨터 선정
2. 일본의 중점 추진 연구개발 방향
○ 네트워크형 연구거점을 통한 Society 5.0 관련 기술 강화
- Top-down식 접근에 따른 연구개발 추진
· 위원회에서 작성한 로드맵을 반영한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양자의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도출
- 양자과학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공통적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추진
○ 새로운 기술 창출을 위한 전략적 기초연구 강화
- 양자생명과학 등에 한정하지 말고, 양자과학기술의 발전 및 국제동향을 반영하여 전략적 기초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중요
3.중장기적으로 기대되는 연구 및 기술 분야
○ 양자정보처리
- 전자 상호작용 시뮬레이션을 통해 물성 및 화학반응을 지배하는 전자상태를 규명하여 초저소비전력 디바이스 및 신약 개발 등
응용
○ 양자계측 및 센싱
- 기존의 기술을 능가하는 정밀도를 통해 자율주행, IoT, 생명·의료, 에너지 절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은
정보 및 응용 실현
○ 극초단 펄스레이저
- 전자 움직임 계측 및 제어를 실현하는 극초단 펄스레이저 개발·활용으로 화학반응 메커니즘 규명 및 고성능 전자디바이스
실현
○ 차세대 레이저 가공
- 최종 완성이 가능한 고정밀도, 저비용의 CPS(Cyber Physical System)형 차세대 레이저 가공기술 실현
< 양자과학기술에 의한 비연속적 과제 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