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정부의 과학혁신투자 경제효과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10-13
- 등록일 2017-10-16
- 권호 104
□ 영국 기업연구센터(ERC)는 최근 정부 및 공공기관의 과학혁신 투자 결과를 조사* 발표(‘17.9.)
* Assessing the business performance effects of engagement with publicly-funded science
○ ‘04~‘16년간 영국 연구회(Research Councils)은 연구비를 지원한 모든 프로젝트 데이터를 분석
※ 예술·인문학 연구회(AHRC), 생명공학 연구회(BBSRC), 경제사회연구회(ESRC), 공학·물리학연구회(EPSRC), 의학연구회
(MRC), 자연환경연구회(NERC), 과학기술시설위원회(STFC), 영국 혁신청(Innovate UK), 연구용동물대체·개선국립센터
(NC3Rs)에서 지난 13년간 프로젝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 도출
① 영국 연구회 프로젝트에 참여해 지원 받은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해 매출 및 고용이 프로젝트 종료 후에도 3년간 5.8~6%, 6년간
22.5~28% 빠르게 증가
② 첨단기술 제조 및 기술 집약 서비스 기업의 프로젝트 참여 효과가 큼
③ 규모가 작고 생산성(노동자 1인당 매출)이 더 낮았던 기업에서 프로젝트 참여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
④ 기업에 효과를 나타낸 프로젝트는 주로 공학 및 물리학 연구회(EPSRC)와 영국 혁신청(Innovate UK)이 지원한 것임
- 이러한 투자는 산업전략 챌린지 기금과 같은 새로운 정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기업이 참여한 프로젝트 지표가치 >
⑤ 지원금의 효과는 중간 규모 지원금인 경우 규모가 작거나 매우 큰 지원금보다 효과가 크게 나타남
○ 공공투자 결과 총 15만 개의 일자리와 430억 파운드 상당의 매출을 창출하는 효과를 도출
- 그 중에서 바이오, 의료장비, 엔지니어링, 생명과학, 첨단제조 등 고숙련 분야의 고용 창출이 두드러짐
< 제조업 지원금 가치(백만 파운드) > | < 서비스업 지원금 가치(백만 파운드) > |
|
- 지역적으로 런던, 캠브리지, 옥스퍼드의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에서 투자 및 고용 창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코틀랜드 지역도
매출 향상이 두드러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