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커뮤니티 참여형 과학의 장단점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7-10-27
  • 등록일 2017-10-30
  • 권호 105

□ 랜드연구소는 커뮤니티 시민 참여형 과학의 사례와 장단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17.9.)


  * The Promise of Community Citizen Science


시민 참여형 과학(Citizen Science)은 연구와 과학적 탐구활동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정의


 - 자발적 연구 참가자가 정부활동을 지원하거나 정책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표로 추진


 - (사례1) ‘10년 미국 내 발생한 딥워터 호라이즌 기름 유출 사고에 대처하고자 지역 시민이 직접 DIY 어플리케이션 개발해 기름

    오염물질을 모니터링


 - (사례2) ‘15년 미시건주 플린트시 시민들이 수돗물에 납이 다량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그 결과 정부가 이를 인정하고 후속

    조치를 취함


 - (사례3) 뉴욕 선셋파크 지역 시민단체는 지역 내 대기 질 샘플과 쓰레기 수거 트럭의 활동 내역을 수집해 상업적 폐기물 산업

    변화 촉구 캠페인에 활용

 
○ 과학적 불확실성 증가, 과학계의 시민과학 포용, 기술 발전을 통한 시민의 접근성 증가 등을 시민 참여형 과학이 주목받게 된

    원인으로 분석


○ 시민 참여형 과학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법제적 지원을 수행


 - 다양한 분야의 연구 비용을 낮추고 연구 범위를 확대하며, 시민의 관심 고양 및 교육을 촉진


 - 연방·주 정부는 ‘17년 미국혁신경쟁력법(American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Act)과 크라우드소싱시민과학법

   등을 제정


○ 그러나 수집된 데이터와 시민과학 전문가 수준에 대한 의구심이 고조


 - 시민 참여형 과학이 지역 주민의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연구결과가 편향된 결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


 - 시민의 자발적 연구 활동이 과학계에서 널리 인정받는 컨센서스에 반하는 경우, 백신 접종이 자폐증에 미치는 영향과 같이

   불필요한 사회적 혼란 야기


 - 새롭게 등장한 시민 참여형 연구방식으로 생산된 데이터에 대한 체계적 분석 메커니즘이 결여


○ 커뮤니티 시민 참여형 과학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시민참여와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의사결정이 필요


 - 연구 참여자, 제도, 구조적 기반 등의 부문에서 다양한 활동이 요구  

 

< 커뮤니티 시민 참여형 과학의 성공을 위한 각 부문의 활동 >

 분류

 잠재 가능한 활동

 참여자

 ∙ 과학자: 이해당사자와 주민을 연구 주제에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참여형 연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이들과 소통하고 연구 결과를 홍보할 방안 개발
 ∙ 시민 과학자: 서로 다른 프로젝트의 연구 수행 방식이나 관심 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존의 시민 과학

   플랫폼 활용
 ∙ 정부: 대중에 연방, 주, 지역 정부의 시민 과학 프로그램을 계속해 홍보하고 시민 과학 연구를 정책 과정에 통합하는

   지침 제공
 ∙ 산업: 시민 과학자와의 파트너십과 소통이 서로에 혜택을 주거나 상충되는 부문을 파악하고, 잠재적인 갈등 요소에

   대한 해결 방안 개발

 제도

 ∙ 연구 과정에 적용된 기본적 가정을 공개하여 연구의 투명성 개선
 ∙ 다양한 학문 분야에 시민 과학의 혜택 홍보
 ∙ 대학 커뮤니티와 관련된 연구가 촉진되도록 이를 핵심적 역량으로 설정
 ∙ 대학 기관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사회 조직에서 시민 과학자 육성
 ∙ 대학 주변 지역과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 과학 연구, 데이터 공개, 동료의 논문 검토 등에 대한 국민들의 접근성을 확대할 수 있는 논문 검토 과정 개발

인프라

기반

 ∙ 커뮤니티 시민 과학을 위한 데이터 검토 구조나 메커니즘을 개발해 데이터의 질과 적절성 제고
 ∙ 과학적 불확실성과 한계를 포함한 과학 연구의 결과를 대중에 전달하는 메커니즘 구축
 ∙ 지역 사회에서 과학 교육과 협력을 확대하는 구조 개발
 ∙ 시민 과학자들과 파트너가 연구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결과를 전달하는 소통 및 협력 구조를 개발

   하거나 기존의 구조 확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