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과 기업 생산성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10-27
- 등록일 2017-10-30
- 권호 105
□ 내각부는 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과 기업 생산성 보고서를 발표(‘17.9.)
※ 인터넷 모니터링 기업 및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업 9,000개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송부하여 2,237개 회수(응답율
25.8%)
○ IoT, 빅데이터, AI, 로봇, 3D프린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신기술 도입 및 검토·활용 등이 고용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분석 결과, 신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의 비율은 36%이고, 아직 도입하지 않았으나 적어도 한 개의 신기술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은 24%로 도출
- 클라우드를 도입한 기업이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oT·빅데이터(23%), 로봇(21.4%), 3D프린터(15.9%), AI
(15.4%) 순임
< 분야별 신기술 활용 현황 >
| 클라우드 | IoT, 빅데이터 | 로봇 | 3D프린터 | AI | |||||
| 도입 완료 | 검 토 중 | 도입 완료 | 검토 중 | 도입 완료 | 검토 중 | 도입 완료 | 검토 중 | 도입 완료 | 검토 중 |
농업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광업 | 25.0 | 50.0 | 0.0 | 25.0 | 25.0 | 50.0 | 0.0 | 0.0 | 0.0 | 25.0 |
건설업 | 21.0 | 44.5 | 5.7 | 14.5 | 8.8 | 16.7 | 4.9 | 11.2 | 0.9 | 9.7 |
제조업 | 24.0 | 49.6 | 5.8 | 26.9 | 23.0 | 37.1 | 18.6 | 33.4 | 1.9 | 17.5 |
도소매· 요식업 | 21.2 | 43.3 | 4.3 | 14.7 | 3.1 | 8.3 | 4.5 | 9.0 | 0.8 | 7.2 |
금융· 보험업 | 48.2 | 75.0 | 8.9 | 46.4 | 16.1 | 32.1 | 7.1 | 14.3 | 7.1 | 44.6 |
부동산업 | 30.8 | 55.8 | 3.8 | 26.9 | 3.8 | 11.5 | 0.0 | 7.8 | 3.8 | 21.2 |
운송· 통신업 | 27.0 | 51.7 | 2.3 | 19.3 | 3.4 | 17.0 | 0.0 | 4.6 | 0.0 | 12.6 |
전기·가스·수도· 열 공급업 | 50.0 | 80.0 | 60.0 | 80.0 | 20.0 | 40.0 | 10.0 | 30.0 | 0.0 | 60.0 |
서비스업 | 42.7 | 63.2 | 8.6 | 28.9 | 7.8 | 18.8 | 2.0 | 5.8 | 3.6 | 22.0 |
○ 기업의 신기술 활용 분야의 경우 상품기획·연구개발, 제조·생산, 출하·제고관리·유통, 판매·프로모션, 애프터서비스, 인사·노무의
6단계로 구분
< 신기술 분야별 활용 현황 >
- 클라우드 활용은 인사·노무 및 판매·프로모션에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재무회계 및 판매관리 등에 활용함으로써 금전적
비용 절감
○ 신기술을 도입한 기업의 성과로는 신상품 개발 및 신규 고객 개척을 들고 있으며(50%), 비용 절감 등 비용 효율화(20%),
노동시간 단축 및 업무 탄력성 향상(20%)을 답변
- 신기술을 도입하였거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의 고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답변이 많았으며, 임금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
○ 보다 많은 기업이 신기술을 도입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면 노동 수요 및 임금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나, 직종에 따라서
신기술로 대체될 가능성 존재
- 신기술을 활용한 생산 현장에서는 개인의 능력 및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재 육성 및 인재투자 확대가 더욱 중요해질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