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기술이전체계 구축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7-10-27
  • 등록일 2017-10-30
  • 권호 105

□ 국무원은 국가 과기혁신능력 전면 제고를 위해 최초로 ‘국가기술이전체계 구축방안’을 발표(‘17.9.)


○ (목표) 2020년까지 새로운 국가기술이전체계 기본을 구축하고, 2025년까지 전면적 국가기술이전체계 구축


○ (3대 중점임무) 국가 기술이전체계 구조 최적화, 기술이전 경로 확대, 정책 환경 및 지원 개선을 제시


1. 국가 기술이전체계 구조 최적화


○ 혁신주체의 기술이전 강화


 - 기업 주도의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성과와 시장의 갭을 줄여 시장 수요에 대응한 기술 혁신과 성과 전환 추진


개방형 기술 시장 구축


 - 기존 허브형 네트워크 플랫폼을 기반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전국 기술 거래 네트워크망 구축


 - 기술이전 인정 규칙과 등록 관리 방법 보완 등 기술 이전 서비스 수준 제고


기술이전 기관 육성


 - 국가 기술이전 관리기관 및 전국 기술교역 시장 발전 관리 강화, 대학 및 연구소 기술이전기관 설립 촉진, 중개기관 기술이전

   관련 서비스 제공 확대

 
○ 전문 기술이전 인재그룹 강화


 - 다양한 기술이전 인재 발전 체제 개선, 해외 고급기술이전 인재와 연구팀 유치

 

2. 기술이전 경로 확대


혁신창업을 통한 기술이전 촉진


 - (연구원 창업) 연구원의 겸직 시 기업 창업 등 권장, 과기성과의 중소기업 이전 유도, 연구자의 기술 양도·기술 개발·기술 서비스

    유도

 
 - (혁신창업 중개기관 기술이전) 기업·대학·연구소의 전문 대중창업공간 육성 지원, 대기업의 혁신창업자원 개방 유도,

    인큐베이터, 대학과기원 등 중개기관 기능 강화


○ 민군 과기성과 이전 촉진


 - 민군 과기성과 정보 연계 강화, 국가 민군 기술성과 공공서비스플랫폼 개선


 - 국방 과기성과 권리 귀속, 가치평가, 지식재산권 민군 이전 등 정책 개선


○ 지역 간 과기성과 이전 확산


 - 핵심지역 기술이전 강화, 단계적 기술이전 구도 개선, 지역 시범사업 전개


국제기술이전 공간 개척

 
 - 기술이전 중개기관 글로벌화, ‘일대일로’ 과기혁신 협력기술 이전행동 전개, 기업의 국제기술이전 권장


3. 정책 환경 및 지원 시스템 개선

 
○ 과기평가 지침서 구축


 - 대학 및 연구소의 연구자 분류 제도 개선 및 과기혁신 실적을 유도할 수 있는 평가체계 구축


○ 관련 정책과의 연계 강화

 
 - 국유 기술자산 관리제도 정비 및 관련 자산평가 관리절차 개선


○ 다양한 투·융자 서비스 개선


 - 국가와 지방 과기성과 이전 유도기금이 자펀드, 대출 위험 보상 등 방식을 통해 과기형 중소기업에 대한 투·융자 지원 확대


○ 지식재산권 보호 및 운영 강화


 - 지식재산권 보호 개선, 혁신 창업 강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