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OECD, 마이크로바이움 기술 혁신 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0-27
- 등록일 2017-10-30
- 권호 105
□ OECD는 마이크로바이움(microbiome) 기술의 혁신과 적용을 통한 새로운 식품과 의약품 개발에 요구되는
혁신정책 과제*를 분석(‘17.9.)
* The Microbiome, diet and health: Towards a science and innovation agenda
○ 과거 유전자 염기서열에 집중되었던 생명과학 연구는 최근 인체 내 장기와 상호작용하는 미생물의 생태계로 정의되는
마이크로바이움에 초점
- 마이크로바이움은 수명 단축 원인의 약 50%를 차지하고, 비전염성 진환의 발현을 막고 치료가 가능한 기술임
○ 갈수록 식품 및 제약 기업은 마이크로바이움 기술을 활용한 제품 생산에 주력
- 기업은 마이크로바이움 기술을 활용해 만성적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맞춤형 식단과 특수 식품을 개발
- ‘12년 주요 식·의약품 시장은 1,500억 달러의 연매출을 기록하였고, 광범위한 식·의약품 시장은 4,200억 달러의 연매출을 기록
< 식·의약품 식품 및 의약품 부문 내 입지 >
| (← 식품에 가까움) 광범위한 식·의약품 (의약품에 가까움 →) | ||
기능성 식품 및 영양 보조 식품 | 핵심적 식·의약품 | 의료용 식품 | |
목표 그룹 |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건강한 사람들 | 일반적인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 특별한 영양섭취가 필요한 환자들 |
주요 사례 | - 유산균 요구르트 - 체중 감량 바 - 스포츠 음료 - 비타민 및 미네랄 보조제 | - 콜레스테롤 저감 식품 - 당뇨, 치매, 노화로 인한 근육 상실 진행 속도 감소 제품 | - 특수 제작 영아 영양소 - 허약체질/만성질환을 위한 영양 솔루션 - 기타 의료용 식품 |
거래처 | - 슈퍼마켓 - 인터넷 | - 슈퍼마켓 - 약국 - 인터넷 | - 약국(보통 의료적 감독을 필요로 함) |
- 해당 시장은 평균적으로 매년 7%씩 성장하는 등 빠른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규제적 지원이 있을 경우 더욱 가속화될
전망
< 식·의약품의 시장 규모 및 향후 전망치 >
○ 마이크로바이움 기술 발전 및 제품 혁신을 위해 5대 분야에 대한 과학 혁신정책을 제안
(1) 과학정책
- 데이터 기반 시설이 더욱 요구되며 대형 연구 컨소시엄과 함께 소규모 연구 지원 필요
(2) 중개과학(translational science) 육성
- 임상실험 설계, 바이오마커 검증, 통계적 해석 등 관련 프로토콜 표준화 활동 촉진
(3) 공공-민간 협력
- 민간기업의 경우 경쟁을 우려하여 데이터 공공 저장에 소극적이므로 정부는 산업과 학계와 협력해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4) 규제적 프레임워크
- 새로운 식품과 식이요법 안전성 평가를 현재 규제적 프레임워크보다 더욱 투명하게 지원
(5) 역량과 소통, 시민참여
- 바이오정보과학 등 발전 및 데이터 공유를 위한 시민 과학 프로그램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