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디지털 혁명 미래 노동시장의 변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11-10
- 등록일 2017-11-13
- 권호 106
□ 네이처는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할 미래 노동시장에 대한 주요 이슈를 제시*(‘17.10.)
* The shape of the work to come
○ 오늘날 인공지능, 로보틱스,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분석 및 모바일 통신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노동시장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임
- 향후 디지털 관련 업무의 미래에 대한 핵심이 되는 이슈로 머신러닝, 긱 경제, 고숙련 디지털 인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현황을 분석
(1) 머신러닝 : 근로자 대체
○ 머신러닝 기술은 더욱 복잡하고 인지적 업무를 자동화할 가능성을 제시
- ‘13년 옥스퍼드대학 연구진이 720개 업무를 대상으로 머신러닝과 모바일 로보틱스 기술로 대체 가능 업무를 분석한 결과, 교통
및 배송업, 제조업, 행정지원 업무 등 47%의 일자리가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 반면, 최근 연구자들의 분석에서는 자동화에 취약한 업무가 실제로 기계로 대체할 수 없는 세부 작업이 많다는 점에서 자동화
대체 비중을 9%로 전망
- 한국과 에스토니아는 6%에서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12%까지 다양한 수준임
○ 머신러닝으로 인한 고숙련 대체는 당초 예상보다는 낮은 수준의 자동화 기술 적용 및 근로자 대체가 예상
< 국가별 자동화 대체 가능성이 높은 일자리 비중 (%) >
* 일자리 대체 가능성이 높음(70% 초과)
(2) 긱 경제(Gig economy) : 노동력 활용
○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긱 경제는 과거 지역 노동 시장에 국한되었던 근로자의 지리적 장벽을 넘어 어디서나 양질의
일자리 확보를 가능케 함
○ 반면, 미국과 유럽 등 고소득 국가에서 대부분의 프리랜서 일자리를 제공하고, 아시아의 저소득 국가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지리적 불균형 현상 초래
○ 긱 경제는 지리적 장벽을 극복한 업무 제공이 가능하나, 불평등은 계속 지속될 전망
< 국가별 자동화 대체 가능성이 높은 일자리의 비중 (%) >
(3) 고숙련 디지털 인력 : 수요와 공급 간 격차
○ 고숙련 디지털 일자리에 대한 공급 부족에 대비하여 디지털 튜터링과 MOOC 등 혁신적 교육 훈련 프로그램 개발 추진
- ‘16년 콜롬비아, 필리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MOOC에 참여한 1,400명의 수강생들 중 80%가 저소득층으로 이 중 41%만
기초 컴퓨터 기술을 보유하였고, 56%는 여성이었으며, 컴퓨터과학이 MOOC 주제에 가장 인기가 높음
○ 노동시장 내 남녀 간 차별 철폐 등 제도적 문제점 해결을 통한 고숙련 노동자 공급이 원활해질 전망
< 국가 및 근로 현황별 온라인 공개수업 비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