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연구개발 투자 동향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11-10
  • 등록일 2017-11-13
  • 권호 106

□ 재무성은 일본의 연구개발 현황 및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동향을 「Finance」에 게재(‘17.10.)


○ ‘16년 12월 새로운 국제 통계에 따라 연구개발이 새롭게 GDP에 포함됨으로써 명목 GDP가 ‘11년 대비 19.8조 엔 상향 조정됨


○ 일본의 GDP 대비 연구개발비는 주요국 중 매우 높은 수준으로 자본화된 연구개발지출*도 다른 국가 대비 매우 큰 편임


  * 지금까지 중간투입으로 간주되어 온 연구개발이 새롭게 GDP에 포함된 것을 의미  

 

 < 제조업 지원금 가치(백만 파운드) >

 <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

 

 

 

* OECD추산은 full time 대학 인력에 대한 연구개발비 총액을 적용  

 


○ 일본의 연구개발비는 리먼 쇼크 후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최근 증가 추세이며 민관 합계 약 19조 엔에 이름


 - 부문별 연구개발 비율의 경우 각국에 비해 기업 부문의 비율이 높음 

 

 < 연구개발비 추이 >

 < 연구개발비 부문별 비율 국제비교 >

 

 

 

 

 - 그러나 대학의 연구개발비 내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수준임


○ 산업별 민간기업 연구비 중 수송용 기계제조업 및 정보통신 기계제조업의 연구비가 높게 나타남


○ 기업 규모별 민간기업 연구개발 투자는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모두 대기업에 집중  

 

 

 < 산업별 기업 연구비 >

 < 규모별 연구개발 투자액 >

 

 

 

 

○ 일본 기술무역액은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모기업 및 자회사 간 거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논문 수 또한 최근

    순위가 하락


○ GDP에서 연구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율과 TFP(총요소 생산성) 상승률과의 관계는 OECD 국가보다 낮은 수준으로 연구개발

    투자가 TFP 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기술무역액 추이 및 논문 수 비교 >

< 연구개발 투자비율과 TFP 관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