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생체인식 시장…안면인식 도입 확산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지디넷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1-10
- 등록일 2017-11-13
- 권호 106
□ 안면인식 기술의 응용이 본격화되며 중국 내 시장도 개화
○ 중국의 안면인식 시장 규모는 ‘16년 약 17억 2,500만 위안에서 오는 ’21년엔 51억 3,600만 위안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치엔잔산업연구원)
- 현재 중국 내 안면인식 기술은 출입통제 및 관리(42%), 보안(30%), 금융(20%)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교통‧의료‧행정
등으로 응용분야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 금융 서비스뿐 아니라 모바일, 출입 시스템 등에 적용되는 추세
○ (은행) 안면인식 기술로 사용자 신분증과 비교해 신분을 식별한 후 사용자의 은행카드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ATM,
모바일 은행에 적용
- 베이징·상하이 등 1선 도시에서 중국 농업은행과 초상은행, 건설은행 등이 자사 ATM에 안면인식 인출 서비스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대대적으로 진행
※ 안면인식 인출 서비스는 은행카드나 신분증 없이 얼굴 스캔만으로 인출이 가능한 서비스
- 특히 농업은행은 이미 베이징‧상하이 등 20개 지점의 508대 ATM에 대해 안면인식 인출 서비스를 시작한데 이어 ‘18년엔 1만 대
ATM에 적용해 전면적으로 안면인식 서비스를 적용한다는 방침
○ (공항) 장춘공항은 안면인식 시스템을 공식 도입(9.7)해 신분증 위변조 및 도용사건에 대응
- 안면인식 기술이 얼굴을 인식하고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정확도가 매우 높으며 안면의 각도‧광선‧표정
등 변화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을 보유
※ 도입 이후 1달 간 4건의 신분증 위변조 사례를 발각. 2건의 경우 위조된 가짜 신분증을 사용, 2건은 타인의 신분증으로 탑승을
시도한 사례
○ (기차역) 자동 안면인식 시스템을 통해 3~5초 만에 역에 들어갈 수 있으며 검표원이 직접 검표할 때 보다 시간이 대폭 단축
- ‘17년 초 우루무치 역에서 안면인식 검표 시스템이 선보인데 이어 국경절 연휴를 맞아 산둥성 지난, 후난성 창사 등 도시에서도
안면인식 시스템을 통한 관광객 검표
□ 안면인식 기술 확대에 대한 기대로 관련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역시 활기
○ ‘17.7월 중국 안면인식 및 AI 기업 센스타임(SenseTime)이 4.1억 달러의 시리즈B 투자를 받아 주목
- ‘14년 설립된 유니콘 업체로 AI기술을 활용해 군중 속에 있는 특정인의 얼굴을 인식, 신원을 밝혀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
- 현재 중국 차이나 모바일·유니온페이·화웨이·오포·웨이보·샤오미 등 업체에 안면인식, 스마트 감시, 딥러닝 솔루션 등을 제공
○ 알리바바가 도입한 안면인식 SW ‘페이스++’를 개발한 북경의 벤처 기업인 메그비(Megvii)는 ’16.12월 폭스콘과 안면인식 ATM
개발에 관심 있는 중국건설은행이 1억 달러를 투자
- ‘17.3월 초,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이 발행하는 과학기술지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안면인식 결제를 ‘10대 혁신 기술’로
꼽으며 메그비를 주목
※ 페이스++: API와 SDK 기술을 이용해 세상을 더 잘 읽어내고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 5가지 특징적인
기능으로 식별
① 안면인식(Face Detection): 하나의 장면에서 사람의 얼굴을 찾아내는 기능. 다양한 얼굴의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어서
사람들의 수를 계산하는 이동 통계에도 사용
② 안면비교(Face Comparing): 사용자 확인 및 구별에 이용되어 신원 확인이 필요한 금융 서비스 등에 활용
③ 안면검색(Face Searching): 비슷한 얼굴을 찾아내는 기능, 범죄자의 동선을 추적하는 데 이용
④ 랜드마크(Landmark): 얼굴에서 눈썹, 코의 윤곽선과 입술의 키포인트를 파악. 화장을 해주거나 필터를 씌워주는 효과에 사용
⑤ 어트리뷰트(Attributes): 얼굴에서 나이, 성별, 자세, 눈 상태 등 개개인이 갖고 있는 고유의 속성을 분석
□ 활용도 높은 안면인식 기술, 응용산업까지 주목하되 보안성도 고려해야
○ 스마트 기기 보급 확대, 전자결제시장 확대, IoT 보급 등의 영향으로 안면인식은 본인 인증, 정보보안, 온라인 결제 등의
분야에서 이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안면인식은 속도 측면에서는 음성·홍채인식 등 다른 생체인식보다 빠른 반면 사진만으로도 보안이 해제되는 경우가 있는 등
보안에 대한 우려도 공존
- 중국에서도 안면인식 기술이 아직 완전하지 않은 상황에서 급속히 보급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제기
- 지속적인 기술 보완을 통해 보안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킴과 더불어 관련 분야의 입법, 기업의 개인정보 수집 분야에서의 권리와
의무 규범화 등에도 노력 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