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디지털화가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7-12-08
  • 등록일 2017-12-11
  • 권호 108

브루킹스연구소는 2000년 이후 디지털화로 인한 미국의 노동시장 변화 지수를 분석하고, 대응 정책 보고서*를 발표

   (‘17.11.)


  * Digitalization and the American workforce


○ 산업의 디지털화로 인해 보다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해진 반면, 성별·인종별·지역별 임금 격차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


○ ‘01년부터 ‘16년까지 정부 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국 내 노동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총 545개 직업군의 디지털 업무 비중

    변화과정을 분석


 - 연구 결과, ‘02년 중하위 수준의 직업군의 디지털 콘텐츠가 빠르게 증가한 반면, 과거 디지털 지수 값이 높은 업종의 경우 완만한

   증가세를 보임 


< 업종별 디지털 지수 및 변화치, 2002-2016년 > 

직업

2002

디지털 지수

2016년 디지털 지수

2002-16년 변화치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폰 앱 개발자

97

94

-3

재무 관리자

41

61

+20

건설 관리자

17

60

+43

인사 전문가

37

60

+22

변호사

34

58

+23

자동차 서비스 기술자 및 수리공

39

55

+17

등록 간호사

38

55

+17

일반 사무 보조원

53

55

+2

도구 및 금형 제작자

3

51

+48

보안요원

28

31

+3

용접, 절단, 수리공

3

23

+20

건설 노동자

2

17

+15

장기 요양 관리사

16

14

-2

 


디지털 업무 비중이 높은 업종일수록 임금 수준이 높고, 자동화로 대체될 위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남


 - ‘10~‘16년 사이 디지털 수준이 높은 업종의 임금은 연평균 0.8% 증가한 반면, 디지털 지수가 중위권은 0.3% 증가에 그쳤고,

    하위권의 경우 0.2% 감소


 - 같은 기간 고용 성장을 디지털 업무 비중으로 나누어 보면, 디지털 지수 상위권과 하위권은 고용이 빠르게 증가한 반면,

   중위권은 둔화된 성장세를 보임 


< 직업별 연평균 고용 성장률, 2010-2016년 > 

 

 
○ 인구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남녀별과 인종별로 디지털 지수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정 계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백인이 48, 아시아계가 51을 나타낸 반면, 흑인과 히스패닉은 각각 44와 40을 기록


- 여성은 평균 디지털 지수가 48이며, 남성은 45로 나타남


  ※ 여성은 중위권 정도의 직업(헬스케어, 사무행정, 교육, 사회복지 등)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중을 기록하였고, 컴퓨터,

      수학, 공학 업종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  

 


< 인종별, 성별 디지털 지수 > 

 

 
○ 미국 내 노동시장의 디지털화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과 훈련이 중요 하며 컴퓨터가 대체할 수 없는 역량을 보다 강조할

    것을 제시

 
 - 유치원에서 대학, 직업 훈련에 이르기까지 연계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확대


 - 사회적 약자 계층에 대한 기본적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확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