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주별 혁신·기술 기반 지수 산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12-08
  • 등록일 2017-12-11
  • 권호 108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미국 내 주별 혁신·기술 기반 지수 산출 및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한 보고서*를 발표

   (‘17.11.)


  * The 2017 State New Economy Index


○ 최근 혁신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경제 체제가 등장하면서, 지방정부별로 이러한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

 
 - 따라서 각 지역의 신경제 역량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5개 분야 25개 지표를 이용하여 신경제지수 산출 
  


< 신경제 지수 구성 및 세부 지표 >

5대 부문

세부 지표

지식 경제

일자리

IT 산업 외의 IT 전문가 고용

관리자·전문가·기술자 근로자 규모

전체 근로자의 교육 수준

지식 근로자의 국제 이민

지식 근로자의 국내 이주

제조업 내 근로자 생산성

고소득 무역 서비스업 고용자

세계화

해외 직접 투자

제조 및 서비스업 수출 지향성

산출량 내 첨단 제품 및 서비스 수출액 비중

경제 역동성

창업 및 폐업 활동

고성장 기업 수

상장 기업 수 및 가치

특허 출원 개인 발명가 수

디지털 경제

농부의 인터넷 및 컴퓨터 활용

정부 서비스의 IT 활용도

브로드밴드 보급 및 속도

의료 부문 내 IT 활용도

혁신 역량

첨단 산업 근로자 수

과학자 및 공학자 수

특허 수

산업적 R&D 투자

비산업적 R&D 투자

청정에너지 경제로의 이동

벤처 자본 투자

 


○ 조사 결과, 미국 내 주별 혁신 및 기술기반 경제 구조에 큰 차이가 도출


 - 전반적으로 지수가 가장 높은 주는 매사추세츠(96.6), 캘리포니아(84.7) 순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미시시피(37.9), 알칸소

   (42.8)가 가장 낮게 나타남

 
 - 매사추세츠 주는 유수 대학의 지원을 받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바이오 기술 기업의 집중과 고용 창출, 소득 성장의 성과를

   바탕으로 매년 1위를 차지


 - 미시시피와 알칸소 주는 천연자원과 관광, 대량 생산제조 등에 의존한 산업 구조와 투자보다는 저비용을 추구하는 기업의 낮은

   혁신이 저성과로 도출 


< 신경제 지수 총합 및 세부 지표 상위 5개 주>

신경제 지수 (총합)

지식 경제 일자리

세계화

상위 5개주

지수

상위 5개주

지수

상위 5개주

지수

매사추세츠

96.6

매사추세츠

18.3

텍사스

13.4

캘리포니아

84.7

코네티컷

16.6

워싱턴

13.1

워싱턴

84.5

버지니아

16.4

매사추세츠

12.8

버지니아

81.7

메릴랜드

15.7

델라웨어

12.7

델라웨어

80.4

워싱턴

15.4

버몬트

12.5

경제 역동성

디지털 경제

혁신 역량

상위 5개주

지수

상위 5개주

지수

상위 5개주

지수

유타

15.9

버지니아

12.7

매사추세츠

19.3

캘리포니아

13.9

워싱턴

12.7

캘리포니아

17.6

매사추세츠

13.9

유타

12.6

델라웨어

15.9

버지니아

13.7

매사추세츠

12.6

워싱턴

15.2

콜로라도

13.6

메릴랜드

12.2

미시간

14.6



○ 50개 주를 대상으로 세율과 투자액을 비교해 본 결과, 20개의 고투자-고세율 주에서는 R&D와 혁신 활동 투자가 활발함


 - 매사추세츠, 캘리포니아 등은 이미 구축된 역량으로 적은 투자로 높은 세율을 유지 


< 국가 평균 대비 주 정부 세율 및 투자 패턴 > 

 

 


○ 결과적으로, 기술혁신 기반 경제성장 촉진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 및 대기업 중심의 기술 혁신 정책이 중요


 - 법인세 인하, R&D 자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기업 규모를 구분하지 않는 세제 적용, 중소기업 위주의 정부 조달제도 폐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