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제조업 재활성화 방안 연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2-08
- 등록일 2017-12-11
- 권호 108
□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는 미국 제조업의 현황과 기회 요인을 분석하고, 제조업 재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17.11.)
* Making it in America: Revitalizing US manufacturing
○ 미국 제조업은 의약품, 의료 장비업을 제외할 경우 지난 20년 동안 부가가치 생산액에서 정체를 겪고 있는 상황임
< 미국 제조업 부가가치액 변화 > | < 세부 분야별 부가가치 생산액 > |
|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은 여전히 미국 전체 특허의 55%, 수출의 60%, 해외 직접투자의 59%, R&D 투자의 70%를 차지
【 제조업 트렌드 】
○ 다양한 인종 구성을 가진 젊은 세대의 등장과 지역별 경제력 격차로 미국 내 시장 수요가 보다 다양하게 분화
※ 신흥 개발도상국의 발전에 따라 ‘10년 12조 달러 규모 소비 시장이 ‘25년 30조 달러(3경 2,600조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
○ 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 등 Industry 4.0 기술 수렴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생산이 가능
○ 전통적 제품 및 서비스 제공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산출물이 제공될 전망
【 미래 시나리오 】
○ 미래 지향형 구조 개선을 통해 제조업을 재활성화할 경우 ‘25년까지 현재의 예상치보다 5,300억 달러(576조원)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가능하다고 예측
- “새로운 표준” 시나리오는 현재 제조 산업의 하락세를 현 수준에서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약 3,050억 달러 더 높은 부가가치액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
- “최대치” 시나리오는 최대 부가가치액을 생산하는 경우로, 기초 예측치에 비해 5,300억 달러가 증가하고 240만 명의 일자리 추가
창출 예측
- 향후 서비스 및 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까지 고려한다면 파급효과가 7,000억 달러의 부가가치와 330만 개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전망
< 2025년 제조업종별 경제적 부가가치 액수 및 일자리 창출 규모 시나리오 >
【제조업 산업 육성을 위한 제언】
○ 기업을 대상으로 금융 프로그램과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해 제조업 전체의 공급기반 역량을 강화
○ 해외 신흥국가들은 엄청난 규모의 소비자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미국 기업의 1% 미만이 제품과 서비스를 수출하고
있어 수출 확대가 필요
○ 다양한 기업 활동 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Industry 4.0 기술을 적절하게 적용하여 생산 효율성 및 부가가치를 창출할
방안 모색
○ 고숙련 인력 공급 부족에 대응한 인력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확대
○ 장기적 관점으로 투자 확대 및 생산성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정책적 재정 방안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