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빅데이터 활용 도시 정책 사례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2-08
  • 등록일 2017-12-11
  • 권호 108

세계경제포럼의 도시 글로벌 미래 위원회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인 세계적 도시 20개 사례*

   발표(‘17.11.)


  * Data Driven Cities: 20 Stories of Innovation


(1) 시민


 -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시민과 시민, 시민과 정부 사이의 관계와 행동을 변화 


< 시민 부문 사례 > 

도시/주체

혁신 내용

보스턴

- 온라인 도시 현황판 시티스코어(CityScore)를 개발, 도시 내 행정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키토

(에콰도르)

- 대중교통 내에서 성추행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 및 향후

   성범죄를 줄일 수 있는 정책 자료로 활용

모스크바

- 도시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이에 대한 불만을 표현할 수 있는 포털을 만들고, 이에 대한 개인 맞춤형

   답변을 받아볼 수 있음

젠슬러

- 세계 각국의 11,000명의 사무 근로자에 대한 업무 환경 조사를 바탕으로 도시의 생산성과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2) 경제


 - 4차 산업혁명은 시민의 생산과 소비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 


< 경제 부문 사례 > 

도시/주체

혁신 내용

두바이

- ‘16년 블록체인 전략을 발표하고 ‘17년부터 시범 사업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얼마나 정부 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살펴보고 있음

멜버른, 더블린

- (멜버른) 토지이용 및 보행자 이동과 관련해 수 년 동안 수집해온 데이터를 기업과 시민에 공개

- (더블린) 지방자치단체와 아일랜드국립대학교와 파트너십을 채결해 250개의 도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개발

MIT

- MIT 감응화도시연구소(Senseable City Lab)는 은행 데이터를 이용해 스페인 도시 및 지역별 소비 패턴을

   모델화, 시각화, 예측하는 경제 모형을 개발

아마다바드(인도), 인촨(중국)

- 자동 요금 징수제를 도입하고 통합된 교통 요금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인촨의 경우에는

   안면인식기술을 통해 버스 요금을 지불


(3) 행정


 - 데이터의 가용성과 도시 문제의 복잡성은 보다 개방적이고 포용적 도시 행정을 필요 


< 행정 부문 사례 > 

도시/주체

혁신 내용

멜버른, 키토, 보스턴

- (멜버른)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세금을 신설하는 과정에서 시민 패널의 활용을 2배로 증가

- (키토) 더 많은 시민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 공유 플랫폼 Mi Ciudad를 개발

- (보스턴) 12~25세 시민들이 10억의 도시 예산을 어떻게 사용할지 논의하는 데 참여

아일랜드, 샌프란시스코, 피츠버그

- 도시 내 토지 이용 규제나 지역 발전 계획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아일랜드의 myplan.ie,

   샌프란시스코, 팔로알토, 피츠버그의 buildingeye.com 등이 활용되고 있음

리우데자네이루

- 도시 내 범죄 데이터를 공개하고 범죄 확률을 예측하는 플랫폼인 크라임레이더(CrimeRadar)

   개발해 시민들의 의사결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하도록 함

콜카타

- 비영리 사회 기업인 “Addressing the Unaddressed”는 무허가 거주지에 우편 주소를 제공하여

   거주민들이 기초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


(4) 사회기반시설


 - 사물인터넷 등 최첨단 기술은 사회기반시설을 개선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  


< 사회기반시설 부문 사례 > 

도시/주체

혁신 내용

보스턴, 뉴욕, 세부

- 내비게이션 앱과 교통 정보 데이터 등을 활용해 도시 내 교통 혼잡에 대한 정보를 수집

키토, 코펜하겐, 후쿠오카

- (키토) 시민에게 수자원 사용량과 절약법을 알려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

- (코펜하겐) 강우량을 예측해 폐수 방류량을 조정

- (후쿠오카) 하수도 시설에서 생성되는 수소 연료 전지로 차량 운행

휴스턴

- 소방청은 시스코와 파나소닉과 파트너십을 맺고 응급 대응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감소시킴

루브르 박물관

- 블루투스 센서를 이용해 방문객들의 이동 동선과 소요 시간 데이터를 만들어 관광객들의

   방문을 늘리는 방안을 개발하는 데 활용하고 있음


(5) 환경


 - 도시가 차지하는 면적은 2%에 불과하나, 이산화탄소 배출의 80%를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환경 문제 대응이 중요 


< 환경 부문 사례 >

도시/주체

혁신 내용

젠슬러

- 건축설계회사 젠슬러(Gensler)는 에너지와 수자원 소비에 대한 보고서를 매년 발표해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경각심 부여

트리피디아

- 주민들이 나무들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

코펜하겐

- 자전거가 멈추지 않고 달릴 수 있도록 변동형 표지판과 지능형 신호등이 활용

1concern, 키토

- 시민들에게 자연재해에 대응하고 피해를 복구하는 방법에 대한 데이터와 우수 사례 등을 소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