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18년 신규 과학기술이노베이션 관련 사업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12-22
- 등록일 2017-12-26
- 권호 109
□ 내각부는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CSTI)에서 ‘18년 예산 사업 중 신규 과학기술이노베이션 관련 사업을 선정
(‘17.12.)
○ 내각부, 총무성,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등 각 부처별 신규 사업 지정
【내각부】민관연구개발투자확대 프로그램(PRISM, 100억 엔)
○ 민간투자 유치효과가 높은 3개 분야 선정
< 민관연구개발투자확대 프로그램 개요 >
분야 | 과제 | 예산 |
혁신사이버 공간기반기술 (AI, IoT, 빅데이터) | 다언어 음성번역 기술, 연구개발 및 실용화 등 12개 사업 | 10억 엔 |
물리적 공간 기반기술 (센서, 액추에이터, 처리장치, 로보틱스, 양자) | 혁신적 재료개발 강화 프로그램(M-cube 프로그램) 등 8개 사업 | 55.8억 엔 |
인프라, 재해방지기술 | 재해방지 및 감소기술개발 등 10개 사업 | 52.1억 엔 중 일부 |
【문부과학성】탁월대학원프로그램, Society5.0 연구거점지원사업(100억 엔)
○ (탁월대학원프로그램) 여러 대학에서 선발된 학생 및 교수가 참여하는 박사인재 육성 프로그램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
육성이 목적임
- 주요 대학의 강점 학문분야를 중심으로 기업, 국립연구개발법인, 해외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및 인사교류
< 탁월대학원 프로그램 연계방식 >
○ (Society5.0 연구거점지원사업) 실용화를 목표로 산학연이 연계하여 Society 5.0 테스트베드 및 첨단 중심거점 마련
(23억 엔)
- Society5.0 실현을 위한 명확한 비전 및 구체적 목표 설정이 관건이며 대형 거점 10억 엔, 기관거점 1억 엔 규모로 ‘18년부터
5년간 지원
【경제산업성】신산업 창출을 위한 신기술 선도연구 프로그램
○ 혁신적이고 사회적 영향이 큰 기술을 선별하여 영향력 있는 미래 국가 프로젝트로 확대하는 선도적 연구 추진
-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에 예산을 교부하고, NEDO가 민간기업·대학·공공 연구기관 등에 위탁
- 1년간 선도 연구를 실시하고, 추가 연구가 필요할 시 1년을 상한으로 추진하되, 단계별 1억 엔/년 이내로 지원
【총무성】혁신적 광네트워크기술 연구개발(11억 엔), AI 네트워크 통합기술연구개발(7억 엔)
○ (광네트워크) 초고정밀도 영상 유통 및 급증하는 통신 트래픽 대응을 위해 저소비 전력 실현 및 고속대용량 광네트워크기술
연구개발 추진
○ (AI 네트워크) AI를 이용한 요건 이해 및 예측 등을 통해 네트워크 리소스를 자동으로 최적 제어하는 기술 개발
【환경성】IT를 활용한 저탄소형 자원 순환모델 구축 촉진사업(5억 엔)
○ 민간사업자가 실시하는 저탄소형 자원 순환모델 구축을 위한 타당성 조사
○ 저탄소화 및 자원순환 효과를 평가하여 저탄소형 자원 순환모델 구축 방법 유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