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정부 산업 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영국 정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12-22
- 등록일 2017-12-26
- 권호 109
□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는 영국 경제 발전을 위한 장기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할 산업전략 백서*를
발표(‘17.11.)
* Industrial Strategy: building a Britain fit for the future
○ 영국은 고용률, 기술 수준, R&D 투자, 인적자원, 법제 시스템 등 측면에서 기업 친화적 환경을 구축하였으나, 생산성 하락에
대한 대응 필요성 논의
- 따라서 국가 생산성과 소득 증대를 위한 5대 기반요소(아이디어, 사람, 인프라, 기업 환경, 지역)에 초점을 두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
(1) 아이디어
- 2027년까지 전체 R&D 투자를 GDP의 2.4% 수준까지 제고하고 R&D 세금 공제율을 12%까지 높임
-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는 2030년까지 혁신국가 실현을 목표로 산업 전략 챌린지 펀드 프로그램*에 추가적으로 7억 2,500만
파운드(약 1조원) 제공
(2) 사람
- 세계적 수준의 대학교육 및 기술 교육체제 구축
- STEM 분야에 4억 600만 파운드 추가 제공, 국가 재훈련계획 수립에 6,400만 파운드 투자
(3) 인프라
- 국가 생산성 투자펀드를 310억 파운드 수준으로 증가시켜 교통, 주거, 디지털 기반시설에 투자를 지원
- 충전 시설에 4억 파운드를 투자하고 플러그인 자동차 연구 지원금 1억 파운드를 추가로 제공
- 5G 기술에 1억 7,600만 파운드, 광섬유 네트워크에 2억 파운드 투자 등 디지털 기반시설 확충에 총 10억 파운드 제공
(4) 기업 환경
- 민간기업 파트너십을 맺는 분야별 이니셔티브 프로그램 시행
- 영국기업은행이 25억 파운드 투자 펀드를 제공하는 등 혁신 유망 산업에 200억 파운드를 투자
(5) 지역
- 170억 파운드의 도시개발 예산을 신규로 마련해 도시 내 교통망 개선 및 도시 생산성 향상
- 낙후 지역 교수의 고급 전문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사 양성 프리미엄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4,200만 파운드 제공
□ 산업별 정부와 민간부문간 분야별 협력 파트너십(sector deal) 추진
○ 생명과학 산업
- 영국 내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이를 통한 경제성장 주도를 위해 생명과학 산업 파트너십을 체결
※ 생명과학 기업 MSD는 영국에 최첨단 허브를 개설하기로 하고, 이 곳에 새로운 연구를 수행하고 950명의 전문 연구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
○ 건설 산업
- 양질의 일자리와 수출 증대 및 새로운 프로젝트와 건물의 효율성을 증진
○ 인공지능 산업
- 2030년까지 영국 경제에 2,320억 파운드의 부가가치를 제공할 전망이며 딥마인드, 바빌론, 스위프트키 등 영국의 혁신 제품이
세계적인 수준에 있음
○ 자동차 산업
- 저탄소 배출 및 무배출 자동차로의 전환 과정에서 이익을 증대
- 세계 3번째 큰 자동차 강대국으로 15만 9,000명의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와 23만 8,000명의 관련 공급체인 산업 근로자를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