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차세대 AI 산업 발전 3년 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1-12
- 등록일 2018-01-15
- 권호 110
□ 공업정보화부는 인공지능과 실물경제 간 심층융합 촉진을 위한 「차세대 인공지능 산업 발전 촉진 3년 행동계획
(2018~2020)」발표(‘17.12.)
○ 2020년까지 스마트 제품 발전, 스마트 센서와 신경망 네트워크 칩 등 핵심 기초 능력 증강, 스마트 생산 등 스마트
제조업 발전, 품질 표준 시스템 구축 등 4가지 목표 제시
- 시장 수요가 주도하는 적극적인 AI 혁신 상품과 서비스 육성을 강조하고 산업, 의료, 교통, 농업, 금융, 물류, 교육, 문화, 여행 등
영역의 애플리케이션을 집중적으로 개발할 것으로 명기
【스마트 제품 육성】
○ (스마트 커넥티드카) 스마트 칩,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등 핵심 기술을 개발, 200년 플랫폼 표준 및 HA급 자율주행 기술 개발
○ (서비스 로봇) 청결, 노인 보호, 재활, 장애인 도우미, 아동 교육 등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 쌍방향 교류, 스마트 제어 및 멀티
기기 협력
- 2020년 가정용 로봇과 공공 서비스 로봇 양산
○ (드론) 스마트 장애물 회피와 자동 비행 등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2020년까지 B2C 드론 3축 기계 안전 보강, 클라우드
플랫폼의 정밀도를 높임
○ (의료 영상 보조 진단시스템) 뇌, 폐, 눈, 뼈, 심혈관, 유방 등 질병 영역의 진단 기술을 개발해 상품화하고 2020년까지 질병군
검출을 95% 이상 높임
○ (스마트 언어·번역 시스템) 2020년까지 중국어 식별 평균 정확도를 96%까지 끌어올리고, 스마트 번역 시스템 영역에서
정확도를 85%까지 높임
○ (스마트 가전) 스마트 센서, 사물인터넷, 머신러닝 등 기술을 가전에 접목하고, 2020년까지 스마트 TV를 전체 TV의 90%까지
높임
【핵심 기초 능력 증강】
○ (스마트 센서) 2020년까지 압전 센서, 자기 센서, 적외선 센서, 가스 센서 등의 성능을 제고하고, 모바일 웨어러블, 인터넷,
자동차 등 중범 분야 시스템 방안 설계 능력 확보
○ (신경망 네트워크 칩) 신경망 칩 기술에서 획기적 성과를 창출하고 중점 분야의 규모화 및 상용화 실현
○ (개방형 플랫폼) 클라우드 교육을 위한 오픈 소스 개발 플랫폼 지원
【스마트 제조 강화】
○ (핵심기술·장비) 인간-기계 협업, 상호작용, 자율학습 기능을 확보한 차세대 산업용 로봇 대량 생산
○ (신규 모델) 디지털 작업장 운영비 20% 감소, 제품 연구 제작 주기 20% 단축, 스마트공장 불량품률 10% 감소, 에너지 이용률
10% 향상
【품질 표준 시스템 구축】
○ (표준 테스트 및 IP 플랫폼) 2020년까지 AI 표준체계 구축, 외부 시범테스트 플랫폼 구축 및 평가 테스트 서비스 제공
○ (지능화 네트워크 설비 보강) 중국 내 90% 이상 지역의 광대역 접속 속도수요 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