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사회에 기여하는 R&D를 위한 미래창발형 접근법 제안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4-06-30
  • 등록일 2014-08-04
  • 권호 28

□ 일본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R&D전략 수립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안(2014.6.)


○ CRDS는 ’10년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과제의 해결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연구개발과제 도출 방법론을 제안


   ※ S&T GPS ’10년 8월 ‘일본, 연구개발전략 수립 방법론’

□ ’10년 방법론을 제안한 이후 ’12년에 발표했던 ‘과제해결형 접근’을 개선한 방법론을 제시


○ ‘과제해결형 접근’은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R&D분야 및 영역 도출에 유용한 방법론으로 활용


 - 문제해결 자체에 치중하여, 문제해결 이후의 미래 사회상에 대한 검토와 첨단 R&D영역에 대한 발굴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


○ 미래 사회상의 긍정․부정적 측면을 모두 검토하는 ‘미래창발형 접근법’*을 제시


   * 보고서 원문의 표현을 그대로 활용, 영문으로 ‘창발(創発)’을 Emergence로 표현. 진화론‧시스템이론의 용어로, 생물의 진화

      과정 및 시스템의 발전과정에 선행하는 조건에서 예측과 설명이 안 되는 새로운 특성이 나오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


□ 미래창발형 접근법에 기반 한 연구개발 전략 수립 접근법



○ 전략수립은 최근 R&D동향 분석을 통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실(Facts)과 5-20년 내 실현가능한 것(Trends), 최종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사회상 및 문제점(Vision)을 제시


□ 전략수립의 세부 단계


○ (Step1)Facts․Trends․Vision 목록작성→ (Step2)테마선정→ (Step3)테마별 Facts․Trends․Vision 목록작성→ (Step4)테마별

    중요 과학기술분야(Driving Force) 선정 및 전략초안수립→ (Step5)미래사회상 검토를 통한 전략수정


□ CRDS는 미래창발형 접근법으로 3개 테마 분야를 도출하고, R&D전략을 수립 중(Step 4)


○ 3개 테마분야는 ①의료지원 및 병원의 변화, ②인간과 기계의 새로운 관계, ③사람의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 CRDS는 미래창발형 접근법의 장점과 향후 개선점도 제시


○ 미래지향적으로 새로운 수요에 기인한 사회상을 예측하며,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문제도 함께 고려한다는

    장점


○ 문헌 DB의 계량적 분석, 기존 사업의 성과 분석 필요, 각 단계의 목적에 적절한 참여자의 구성, 인문사회과학자 참여 등의 개선

    필요

□ 시사점


○ ‘미래창발형 접근법’에 의한 R&D전략은 몇 가지 시사점을 내포


 - 실제수요가 충족되었을 때 발생 가능한 부작용도 함께 검토 수행


 - 현재의 과학기술을 활용하되, 첨단기술개발을 동시에 목적으로 설정


 - 미래창발형 접근법이 유일하고 올바른 방법론이 아니라 어떠한 연구개발의 성과를 사회가 요구하는지가 R&D기획단계에서부터

    검토 필요


○ 현재 추진중인 ‘창조 비타민 프로젝트’나 ‘사회문제 해결형R&D'의 기획․시행과정에서도 목적 달성 이후 모습에 대한 심층검토

    필요


 - 프로젝트의 부작용, 기술적용시의 문제점 등에 대한 사전분석 반영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