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대학 시스템 투입 및 산출 구조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8-01-26
  • 등록일 2018-01-29
  • 권호 111

□ 총무성은 일본 대학을 포함한 과학기술연구조사(‘02~‘15)를 실시해 오고 있으며, 일본 대학시스템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17.12.)


○ 본 조사는 자연과학계 논문 수 비율을 기준으로 5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총 1,167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


  ※ 1G : 전체 논문에서 5% 이상 차지(도쿄대, 교토대, 오사카대, 도호쿠대), 2G : 1~5%(오카야마대, 규슈대, 게이오대 등

      13개 대학, 3G : 0.5~1%(가고시마대, 구마모토대 등 134개 대학), 4G : 0.05-0.5%(이와테, 사이타마대 등 134개 대학),

      기타G : ~0.05%(기타 882개 대학)

【투입】


○ 연구개발비는 대학 그룹에 따라 분야별 비율 차이가 보였으며, 논문 수 점유율이 낮은 대학일수록 인건비 비율이 큰 편임


 - 특히 보건 분야의 연구개발비 확대가 뚜렷함


 - 과거 10년간 외부유입연구개발비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논문 수 점유율이 높은 대학일수록 큼

 

 

< 학문 분야별 연구개발비 비율 >

< 외부유입 연구개발비 및 자기자금 비율 >

 

 

 

○ 연구개발 인력은 논문 수 점유율이 클수록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생 비율이 높았으며, 여성 연구자가 남성에 비해 더 큰 편임

【산출】


○ 대학 및 연구개발법인이 차지하는 일본 전체 논문 수는 74%이며, 상위 10% 논문의 경우 1그룹의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남  

 

 

 < 일본 부문별·대학 그룹별 논문 수 >

 < 일본 부문별·대학 그룹별 Top 10% 논문 수 >

 

 

 

 

○ 대학 그룹별로 논문 수 점유율은 거의 비슷한 편이나, 분야별 구조는 상이


 - 1그룹에서는 물리학·재료과학·환경·지구과학의 비율이 높으며, 2그룹은 임상의학 비율이 높음


 - 3그룹 및 4그룹은 임상의학 및 기초생명과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

 
○ 논문 수 증감은 대학 그룹에 따라 논문 분야별로 다름


 - 화학·재료과학·물리학의 경우 모든 대학 그룹에서 논문 수가 감소되었으며, 환경·지구과학·임상의학 분야는 모든 대학 그룹에서

   논문 수가 증가


○ 공저 논문 수 증가에 따라 모교 그룹의 책임저자 논문 수 비율이 떨어진 반면 해외 기관 및 타 대학 책임 저자 논문 수 비율은

    증가함


□ 일본 대학 시스템은 모두 일본 논문 수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으며, 전체 논문 수 증가를 목표로 할 경우, 대학

   그룹의 연구 강화를 위한 지원 필요

 
○ 분야별로 대학 그룹별 논문 산출 구조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필요하며, 사립대학의 연구 잠재력 파악 등이 추진될 예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