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FCC 망 중립성 폐기…인터넷 시장 지각변동 예상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한겨레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1-26
  • 등록일 2018-01-29
  • 권호 111

□ 인터넷 패러다임 변화로 美 FCC는 망 중립성(Net Neutrality) 원칙을 폐기


○ ‘망 중립성’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중립적으로 모두에게 공평하게 개방하도록 해 최종 사용자나 콘텐츠업체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원칙


○ 그러나 최근 영상 스트리밍, 인터넷 전화 서비스 등의 비중 확대에 따른 모바일 트래픽 증가, 구글‧유튜브와 같은 대형 플랫폼의

    등장 등으로 패러다임 변화에 직면하며 논쟁 촉발


 - (통신사) 모바일 트래픽 증가, 영상 콘텐츠 증가 등의 영향으로 네트워크 투자가 빠르게 늘어나야 하는 상황에서 그 투자 부담을

   동등하게 분담해야 한다며 망 중립성 폐기 주장


 - (플랫폼 사업자) 일부 투자 부담이 생겨도 트래픽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사업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며 망 중립성 유지 주장


○ 결국 12.14일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망 중립성 정책 폐기 표결’에서 FCC 위원장 아지트 파이(Ajit Pai)를 비롯한 공화당 추천

    인사 3명이 찬성, 3대2로 폐기안 통과


  ※ 앞서 아지트 파이는 네트워크를 공공재로 취급하는 유틸리티 스타일의 규제가 광대역 투자를 침체시켰다고 하면서 망 중립성

      원칙을 폐기한다는 계획을 발표(11.22) IITP, ICT BRIEF 45호, 美 FCC, 망 중립성 폐기안 공개…향후 결과에 주목(2017.11.30.)

 
 - 이에 따라 망 중립성 정책은 2년여 만에 폐기하고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분류체계를 공공서비스

   (common carrier)가 아닌 정보서비스로 변경할 예정


 - 망 중립성 폐기로 FCC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운영의 투명성을 요구하고, 소비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

   상품을 선택하고, 기업은 혁신에 필요한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으로 현 미국 정부는 기대


○ 망 중립성 폐기로 통신망 사업자는 플랫폼 사업자의 네트워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되는 반면 요금 납부 여력이

    있는 대기업과 그렇지 못한 스타트업 간의 간격 차가 더 벌어질 수 있어 통신사와 플랫폼 사업자 간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   


< 망 중립성 폐기에 따른 사업자별 영향 > 

통신사업자

거대 인터넷 기업

일반 사용자

순수 플랫폼 업체

일반 기업

5G 투자 등 네트워크

  고도화에 적극적

용도별, 사용자별, 앱별

  데이터요금제 옵션

  다양화

기업 사용자에 

  네트워크 사용료

  증액 요구 가능

단기적으로 비용 증가

  가능성

고도화된 네트워크

  활용해 IoTAI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업 강화

신규 사업자 진출이

  어려운 환경 조성돼

  독과점 현상 심화 전망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옵션 선택 가능

데이터 과다 사용자는

 서비스 요금이 늘어날

 전망

네트워크 비용 부담

  증가

비용을 전부 부담

  하거나 콘텐츠와

  사용자에 비용 부담

   전가 가능

통신사업자의 플랫폼

  사업 강화에 따른 경쟁

  심화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의 경우 비용

 증가

IoT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네트워크

 사용료 증가


※ 자료 : 한국투자증권


□ 유럽과 한국은 망 중립성 원칙을 유지할 입장이나 향후 변화에 예의주시


○ (유럽) 차별과 간섭 없이 개방된 인터넷에 접근할 권리가 EU 법규에 명시되어 있는 바 원칙을 계속 지킬 것이라고 발표(12.15)


 - EU는 ‘15.11월 제정, ‘16.4월 발효된 ‘오픈 인터넷’ 법규에서 통신 업체가 누구에게나 동등한 인터넷 접근을 제공하고 속도나

   품질에서 차별하지 못하도록 명시


 - 오는 ‘18년 ‘오픈 인터넷’ 규정의 영향을 평가하고 ‘19.4월에 개정 여부 등을 검토할 예정


 - 전문가들은 이 시기에 미국의 망 중립성 폐기에 힘입은 통신업계의 규제 완화 목소리와 편법을 봉쇄하고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본격적으로 충돌할 것으로 예상


○ (한국) 미국의 경우 정부 교체에 따라 새롭게 변화되는 시도일 뿐 우리나라 통신 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


 - 우리나라의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들은 기간통신사업자로 분류돼 망 중립성 원칙 준수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현재 유지되고

   있는 가이드라인을 법제화하는 것도 추진 중


 - 그럼에도 인터넷 생태계에 미치는 미국의 정책 결정 영향이 크고, 국내 트래픽을 상당수 차지하는 곳이 구글‧유튜브 등 글로벌

   사업자들이어서 장기적 파장은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


 - ICT 산업의 근간이 되는 통신망 재투자와 ICT 혁신이 선순환을 이뤄내도록 본격적인 정책 고민을 해야 할 시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