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세계 최대 IPv6 구축을 위한 행동계획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매일경제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1-26
  • 등록일 2018-01-29
  • 권호 111

□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기존 IP주소를 뜻하는 IPv4가 약 43억 개(2의 32승)의 인터넷 주소만을 할당 가능해 글로벌 전역에서 IP주소의 고갈을 대비해

    ‘98년 개발된 인터넷 주소체계


 - IPv4의 32비트 구조에서 128비트 구조로 변경되면서 2의 128승개의 IP주소 사용이 가능해, 사실상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무제한인터넷주소’라고도 지칭

 
○ ‘11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신규 배정이 중단된 IP 주소체계인 IPv4를 대신하는 규격이지만 도입은 많지 않은 상황


 - 현재 IPv6를 가장 활발하게 도입하고 있는 지역은 유럽이며, 국가별로는 벨기에(46.4%)가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40.4%), 인도

   (36.6%) 순으로 집계(Akamai, 12.4일 기준)


  ※ 한국의 IPv6 도입률은 2.2%로 세계 48위, 중국은 0.3%로 67위


기존 IPv4로는 ICT 발전 한계 인식, IPv6를 세계 최대 규모로 구축 예정


○ 중국 국무원은 최근 ‘IPv6 확대 추진을 위한 행동계획’을 마련하고 현재 실험 및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IPv6를 5∼10년 내 세계

    최대 규모로 확대할 계획(신화통신, 11.28)


 - 이를 통해 중국의 독자적인 차세대 인터넷 기술체계와 산업생태계를 구축하여 경제사회 각 영역에서 융합함으로써 세계 인터넷

   산업 발전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목표를 제시


 - ‘18년 말까지 중국 내에서 IPv6를 활용한 단말기를 2억 개로 늘려 전체 IP 주소의 20% 이상을 차지하게 한 다음 ‘20년까지는

   5억 개로 전체 IP의 과반이 되도록 육성할 계획


 - 궁극적으로는 ‘25년까지 중국의 IPv6 사용 규모를 세계 1위로 키우고, 네트워크, 응용, 단말기에 모두 IPv6를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인터넷 기술 산업 체계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


○ 중국이 이처럼 발 빠르게 IPv6 활성화에 나선 이유는 인터넷, 사물인터넷(IoT), 스마트공장 등 산업기술 발전에 따라 IP 주소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


 - ‘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주소가 필요한 설비가 300억 개를 넘고 중국 내 IP 주소 수요만도 100억 개를 넘을 것으로 예측


 - 주소 길이 32비트인 IPv4는 43억 개 주소가 이용 가능한 반면 128비트인 IPv6는 무한대의 주소 할당이 가능해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한 모든 단말기에 독립적인 IP 주소를 할당 가능

 
  ※ 중국 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CNNIC)에 따르면 중국 내 7억 5,100만 명의 인터넷 이용자는 IPv4 체계로는 3억 3,800만 개의

      주소를 가질 수밖에 없어 1인당 0.45개의 IP 주소 밖에 주어지지 않는 상황  


< IPv6와 IPv4 비교 >

구분

IPv6

IPv4

주소 길이

128 비트

32 비트

주소 형태

2001:0db8:85a3:08d3:1319:8a2e:0370:7334

221.23.222.222

주소 개수

2128승개

(43*43*43*43억 개)

232승 개(43억 개)

패킷 헤더

고정 사이즈

변동 사이즈

헤더 필드 수

12

8

P&P 기능

자동 구성으로 지원

없음

이동성

가능

상당히 곤란


※ 자료 : IT World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IPv6 도입이 필수


○ 선도국은 IPv6 도입을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상황으로, 벨기에‧스위스‧독일‧미국 등에서는 이미 전체 인터넷주소의

    25% 가량이 IPv6로 대체

 
 - 해외 주요 100대 웹사이트 중 16개 사이트(구글‧페이스북‧아마존‧링크드인‧유튜브‧넷플릭스 등)에서 IPv6 도입이 완료


○ 우리 나라도 ‘08년부터 IPv6 도입을 위해 단계적으로 IPv6 전환을 추진하는 단계


 - 통신사업자와 함께 국내 IPv6 인터넷 트래픽 소통을 위한 상호 연동을 추진하고 트래픽 정산 시스템도 개발하는 등 선제적으로

   IPv6로 전환할 방법을 모색할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