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인공지능 고급인력 유치 확대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8-02-09
  • 등록일 2018-02-12
  • 권호 112

네이처지는 중국 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유치 경쟁 현황과 중국 정부 인재양성 방안*을 소개(‘18.1.)


  * China enters the battle for AI talent


○ 중국의 인공지능 연구는 시작이 늦었으나,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급속히 성장


 -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100대 인공지능 기업 가운데 중국 기업이 27개에 해당하며, 그 중 텐센트, 알리클라우드, 바이두,

   커다쉰페이 등은 차세대 인공지능 개방혁신 플랫폼 구축 지원 


< 중국 4대 기업의 2017년 인공지능 성과 >

4대 기업

주요 내용

   바이두

- 최초로 인공지능 개방플랫폼의 전략기술과 솔루션 발표

- 그 중 대화형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연언어 대화의 상호작용 방식을 통해

   다기능 실현 가능

- Apollo 자율주행 기술 플랫폼은 자동차산업 및 자율주행 분야 협력파트너가 자체

  완비된 자율주행 시스템을 신속히 구축하도록 지원

   텐센트

- 인공지능 의학영상제품인 텐센트미잉(腾讯觅影)을 론칭하고 인공지능 의학영상 공동

  실험실 설립 선포

  알리바바

- 글로벌연구원인 다모원(达摩院) 설립 선포 및 알리바바의 세계 인공지능 등 프런티어 기술

  경쟁 대열로의 매진을 대표

커다쉰페이

- 스마트 음성기술이 세계 선두수준이며 이투과기(依图科技)는 세계 최초 10억 명 초상 비교

   시스템 구축

- 2017년 미국 국가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안면인식 기술 테스트에서 최초로 우승한

  중국 단체가 됨


 

○ 미국과 비교해볼 때, 인공지능 논문 수는 미국을 초월하였으나, 전문가의 연구 영향력은 그에 훨씬 못 미침


 - 미국 과반수 데이터 과학자는 10년 이상의 업무 경험이 있으나, 중국의 40% 이상의 데이터 과학자는 업무 경험이 5년 미만임


 - 중국은 30개 미만의 대학 연구 실험실만이 인공지능에 주력하여, 기업의 인재 수요를 충족하기에 역부족


 - 중국은 대부분 컴퓨터 시각과 음성인식 등 영역에 집중되어 있어 기타 분야의 인재가 상대적으로 부족


○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올해 1월 베이징 먼터우거우구에 인공지능 단지를 조성하는 데 21억 달러를 투자하는 방안을 발표


 - 2030년까지 인공지능 기술 선두 주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중국 정부가 발표한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의 일환인 최초 대형

   투자임

 
 - 55헥타르에 이르는 산업단지에 400여개의 기업을 입지시켜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생체인식, 딥러닝 등의 부문에서 연간

   500억 위안의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

 
○ 중국 기업의 인공지능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면서, 인공지능 분야의 뛰어난 연구자들을 고용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 중


 - 베이징에 본사를 둔 센스타임과 페이스++ 등 안면인식 기술을 개발 중인 최소 5개 기업이 ‘17년 1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


○ 세계적으로 숙련된 인공지능 인재 풀이 작다는 점에서, 구글 등 다국적 기업뿐 아니라 중국 기업들도 치열한 고급 인력 유치

    경쟁을 펼치고 있음


 - 중국의 텐센트(Tencent)나 바이두(Baidu)의 인공지능 연구소는 100만 달러 이상의 임금을 제시해 인재를 유치하는 중

 
 - ‘04년 베이징대학교가 인공지능 수업을 개설한 이래 30여개의 대학교에서 관련 수업을 제공하고 있으나, 최고 인재들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등 산업 수요에 대응이 쉽지 않음


 - 마이크로소프트사는 베이징대학교, 칭화대학교의 최고 인재 확보를 위해 베이징에 지사를 설립하고, 구글도 베이징에 인공지능

   연구소를 신설

 
○ 중국은 인공지능 기술의 다양한 측면에서 미국을 추격하고 있으나, 기초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중국의 기술 발전에 대한

    비관적 시각이 존재


 - 민관 기업의 투자 및 특허 수 등 대부분 인공지능 관련 지표에서 중국은 미국을 추격하고 있으며, 컴퓨터 비전 등 일부 응용

   분야에서의 격차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음


 - 반면 중국의 기초 혁신 역량이 아직 부족하다는 점에서 향후 10년 동안 중국이 획기적인 발전을 선도해 갈 수 있을지 불확실성이

   높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