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4차 산업혁명 기술 확대 촉진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2-09
- 등록일 2018-02-12
- 권호 112
□ 세계경제포럼(WEF)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실제 생산 부문에 적용한 우수 사례와 이를 촉진할 방안*을 제시(‘18.1.)
* The Next Economic Growth Engine: Scal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in Production
※ 전문가 인터뷰 및 맥킨지 분석과 펄스조사(Pulse survey) 등을 바탕으로 보고서 작성
○ 4차 산업혁명 기술 트렌드는 생산의 가치 창출 과정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단기·중기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
- 제조 자동화, 가치사슬의 연계, 공급체인과 공급자 생태계 간의 연결, 새로운 부가가치 서비스와 사업모델 혁신
- 반면, 대다수의 기술은 아직 시범 단계나 개발 단계에 있어 이를 산업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의 첨단 기술 도입 시 활용 가능한 툴킷을 가치 제공엔진 부문과 확대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
- 300여 기술 중 가장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파악된 39개 디지털 기술 활용 사례를 제공
- 39개 디지털 기술 활용을 통해 시장화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대응력 향상, 자원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 소비자 수요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 제공, 부가가치 서비스 및 사업 모델 혁신 등에 크게 기여
- 산업별로 항공, 자동차, 전자, 도구·기계 산업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전망
< 39개 디지털 기술 활용 사례 산업별 적용 가능성 >
○ 4차 산업혁명 기술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 각국의 정책 등을 소개
- 인지도 제고, 재정적 인센티브 제공, 법적 체계 확보, 기술 도입기업 인증 확대, 생산과 관련된 연결성과 데이터 보안성 확대,
RD&I 촉진, 새로운 인력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마련
< 4차 산업혁명 기술 확산을 위한 정책 사례 요약 >
정책 부문 | 주요 사례 |
인지도 | - 독일: 2017년 하노버 산업박람회에 22만 5천명 이상이 방문함 - 프랑스: 산업 주간 동안 2,300개 이상의 이벤트가 조직됨 |
재정적 인센티브 | - 프랑스: 중소기업의 산업 4.0 기술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앞으로 2년 동안 33억 유로(약 4조 4,000억 원)를 투자하는 계획을 발표 - 중국: 제조기업이 주도하는 해외 기술 투자를 통해 200억 유로(약 26조 5,000억 원)를 들여 독일 기업들을 인수함 |
법적 체계 | - 독일: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기업 간 융합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한 Ju-RAMI 4.0의 법적 측면을 발표 - 미국: 의회를 통해 드론 운행 안전법을 도입해 드론의 운행을 규제함 |
인증 | - 프랑스: 산업 이해당사자(기업, 정부, 학계, 시민사회)들을 조율하는 기구인 미래 산업 연대(Alliance Industrie du Futur)를 조직함 |
연결성 및 데이터 보안성 | - 산업 네트워크와 시스템의 안보에 초점을 맞춘 태스크포스를 통해 ‘미래를 위한 사이버 보안’이라는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함 |
RD&I | - 기술 개발을 위한 테스트 베드가 아일랜드(사물인터넷), 캐나다(인공지능), 한국 (증강/가상현실) 등에서 건설되고 있음 |
인재 및 교육 | - 영국: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도록 개정하고 3D 프린팅 수업을 시범적으로 수행함 - MIT의 산업 4.0 공개 인터넷 강의와 스탠포드의 법, 과학, 기술 프로그램 등 새로운 대학 과정이 생겨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