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IoT 국제 경쟁력 순위 발표…미‧일‧중‧한국 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2-09
- 등록일 2018-02-12
- 권호 112
□ 일본 정부, 사물인터넷(IoT) 역량을 가늠하는 ‘IoT 국제 경쟁력 순위’ 업데이트
○ 지난 ‘17.3월 총무성은 IoT 사회의 도래에 대응해 ICT 전반의 역량을 측정하는 기존 지표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여
‘IoT 국제 경쟁력 지표’를 책정
※ 총무성은 ‘08년부터 ‘15년까지 ‘ICT 국제 경쟁력 지표’를 매년 공표
- 기존의 ICT 국제 경쟁력 지표는 IoT 사회에 대응하기는 부족하다고 판단, ① 스마트 시티 ② 헬스케어 ③ 스마트 공장
④ 커넥티드카 등과 관련된 평가 항목을 새롭게 도입
- 더불어 WEF의 ICT 국제 경쟁력 순위, ITU의 ICT개발 지수 등을 참고해 상위 국가의 IoT 기업(약 1,500개) 경쟁력을 점수화하여
종합 순위 산출
※ 10개국 : 일본을 비롯해 미국·독일·중국·한국·대만·프랑스·스웨덴·핀란드·네덜란드
- 각국 기업의 IoT 분야 세계 시장점유율, 연구개발 능력, 기업의 M&A 등 향후 잠재력으로 이어질 요소에 가중치 부여
○ ‘17.3월 처음으로 순위를 발표한 이후 IoT 산업 발전 현황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반영한 결과를 업데이트하여 발표(‘18.1.5)
< 총무성 IoT 국제 경쟁력 지표 >
주) 붉은 색 항목이 IoT 역량 평가를 위해 새롭게 업데이트된 부문
※ 자료 : 총무성, ‘17.3.10
- 미국과 일본이 각각 1, 2위로 전년(‘15년)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한 가운데 중국이 3위, 한국은 1단계 상승한 4위 차지
< 일본 총무성이 평가한 IoT 경쟁력 순위 >
2015년 |
| 2016년 | ||||
순위 | 국가 | 총점 | 순위 | 국가 | 총점 | |
1 | 65.5 | 1 |
| 67.7 | ||
2 | 57.6 | 2 |
| 57.1 | ||
3 | 54.8 | 3 |
| 55.8 | ||
4 |
| 48.8 | 4 |
| 47.7 | |
5 |
| 48.4 | 5 |
| 47.0 | |
6 |
| 47.0 | 6 | 46.3 | ||
7 | 45.6 | 7 |
| 45.1 | ||
8 |
| 44.7 | 8 | 44.8 | ||
9 | 44.6 | 9 |
| 44.6 | ||
10 |
| 44.6 |
| 10 | 44.0 |
※ 자료 : 총무성, ‘18.1.5
□ IoT 등 첨단기술이 촉발하는 미래 사회, 핵심 역량 확보를 위한 철저한 준비 필요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는 IoT·인공지능·로봇 등은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일으키며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상황
○ 이런 가운데 IoT를 둘러싼 전반적 기술, 시장 현황, 표준화 등 주요 이슈를 포함한 종합 지표를 책정하고 당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 준비를 강화하는 일본의 행보 주목
○ 우리나라도 IoT 시장의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기술 개발과 함께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지표 등을 활용해 강점과 약점을 면밀히 파악하여 경쟁우위 창출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