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AI 선도 도시로 비상하는 베이징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지디넷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2-09
- 등록일 2018-02-12
- 권호 112
□ 국가 차원의 AI 발전 계획이 마련된 이후 각 도시들도 세부 계획 마련
○ 정부의 장기 지원 플랜에 힘입어 중국의 AI 산업 규모는 이미 ‘16년에 100억 위안(약 1조 6,500억 원)에 도달한 데 이어 ‘19년에는
3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아이미디어리서치)
- ‘16년 기준, 중국 AI 관련 지식재산권은 2만 9,023건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50% 이상이 로봇과 인공신경망 관련 지식재산권
< 연도별 중국 AI 산업규모 >
※ 자료 : 아이미디어리서치
○ AI 굴기 본격화를 위해 ‘17.7월 중국 국무원이 AI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시키겠다는 ‘차세대 AI 발전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각 도시별 AI 세부 전략도 마련
- ‘차세대 AI 발전 계획’은 국가 차원에서 처음으로 마련한 AI 중장기 발전 계획으로 6개 방면의 주요 임무와 3단계 육성책을 제시
- (안휘, 安徽) ‘17.12월 중국 허페이 스마트 음성인식 및 AI 산업기지 발전계획(‘18~‘25년)을 발표
- ‘25년까지 음성인식 및 AI 응용제품 사용 인구를 15억 명으로 늘리고, AI 단지 입주 기업의 전체 매출이 2,000억 위안이 넘도록
한다는 목표를 제시
- (광저우, 廣州) ‘17.5월 난사구와 공동으로 100억 위안의 AI 산업기금을 만들고 이 가운데 30억 위안을 투입해 광둥 자유무역구
내에 ‘난사 AI 산업원구’를 만든다고 발표
- (항저우, 杭州) ‘17.7월 3년 내 AI 전문 연구원과 기업연구소, 전문 창업보육센터 등을 유치해 세계적인 AI 기업 집적지로
키운다는 목표를 발표
○ 망 중립성 폐기로 통신망 사업자는 플랫폼 사업자의 네트워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되는 반면, 요금 납부 여력이
있는 대기업과 그렇지 못한 스타트업 간의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어 통신사와 플랫폼 사업자 간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
□ AI 산업의 허브로 변모한 베이징시는 최근 AI 산업 육성안을 발표
○ ‘20년까지 시의 차세대 AI 전체 기술·애플리케이션이 세계 선두 수준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베이징시 과학기술 혁신 가속을
위한 AI 산업 육성 가이드’를 발표
- 베이징은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중관춘(中關村) 과학기술단지가 있는 도시로, 중국 전역의 약 400개 AI 창업 기업 중
160개 기업이 베이징에 집중적으로 분포
- 이에 베이징 서부의 스타트업 요람인 중관춘과 이에 인접한 먼터우거우(門頭溝)구에 138억 위안을 투자, 54.87ha
(54만 8,700㎡)에 달하는 AI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CNBC, 1.4)
- 5년 내 완공을 목표로, △빅데이터‧클라우드‧IoT 같은 AI 인프라 기업 △생체인식‧딥러닝 같은 AI 핵심기술 기업 △의료 등 AI
응용 서비스업체 등 약 400개의 기업을 유치할 예정
- 또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내외 유명 대학과 연구소 및 선도 기업도 유치해, 연간 500억 위안의 부가가치를 생산할 계획
□ AI, 국가 경쟁력 좌우할 핵심 요소, 우위 확보를 위한 총체적 역량 결집 필요
○ IoT·로봇 등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으며 각종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혁신을 일으키고 있는 AI는 앞으로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 중 하나
○ 이런 가운데 중앙정부는 물론 주요 지방정부까지 AI 집적단지 건설, AI 발전 로드맵 발표 등 총체적 AI 굴기에 나서고 중국의
행보에 글로벌 이목 집중
-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기업을 막론하고 유망 프로젝트를 확보한 스타트업에 정부 차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실시
- 이에 참신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기술협력 투자 등 측면에서의 협력을 희망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상황
○ 우리나라도 AI를 13개 혁신 성장동력의 하나로 선정하고 집중 지원할 예정으로 있는 바,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AI가
확실한 미래 먹거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견고한 기반 구축을 위해 산관학연의 총체적 역량 결집이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