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상단배너 0
홍보관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홍보관

KISTEP 수요포럼

국내외 식량수급 현황과 기술대응 전략...제145회 KISTEP 수요포럼 개최

  • 등록자김지주
  • 등록일2022-05-12
  • 조회수1,292

식량위기가 심각한 글로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식량수급 현황을 살펴보고, 식량안보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과 미래지향적 국가 정책 및 기술개발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정병선)'국내·외 식량수급 현황과 기술 대응전략'을 주제로 제145KISTEP 수요포럼을 511()KISTEP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정병선 KIST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지능형 농장 활용, 농업IT빅데이터 중심의 융합형 인재 양성, 기술이전 기반 생산성 향상, 환경 친화적 스마트 농업 촉진 및 인프라 투자 등 과학기술혁신을 중심으로 하는 전략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번 수요포럼을 통해 식량위기 극복을 위한 국내 농업기술 현황에 대해 면밀히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지혜를 모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정병선 원장

△정병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주제발표에서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직면한 글로벌 식량 위기의 주요 이슈는 기후변화로 인한 곡창지대의 가뭄, 코로나19 팬데믹에 기인한 인력 조달 및 식량 파종 부문 등의 어려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세계적 식량위기의 고조, 초고령사회로 인한 농촌 인력 부족 등이다라고 말하며, “식량수급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대비는 물론 식량 정책의 정확한 수립과 구현을 위한 R&D가 중요한 때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곽 책임연구원은 해외의 식량안보 정책 사례를 예로들며 일본의 경우 곡물자주율이 100%이상이고 식량 자급률 또한 증가하는 추세로 식량안보 위기 대응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중국의 경우 국가식량안보중장기계획요강을 통해 곡물자급률을 2020년 기준 95% 이상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는 등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곽상수 책임연구원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곽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식량 안보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식량자급률의 확대, 온실가스 감축, 농업의 디지털 전환, 공급망·비축 확대, 위기 대응체계 구축과 더불어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식량 위기 극복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끝으로 곽 책임연구원은 식량안보 구축을 위한 농업혁신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 전략으로 경제논리가 아닌 국가 생존을 위한 안보관점에서의 농업·식량 평가, 국가 농업·식량정책이 뒷받침 된 R&D 전술, 필수적인 첨단 농업생명공학기술, GMO 등 농업혁신기술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 소통 등 다각적 노력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더불어 농업혁신정책을 위해 법적 효력이 있는 국가농업 중장기R&D 로드맵 구축, 농업혁신기술의 적극 수용·개발 및 활용, 해외농업 기술개발 전략 수립, 곡물비축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패널토론

(왼쪽부터) 한지학 (주)툴젠 전무이사, 사동민 충북대학교 교수, 김종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이어진 패널토론은 임현 KISTEP 재정투자분석본부장을 좌장으로 툴젠 한지학 전무, 충북대학교 사동민 교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종인 연구위원이 참여하여 심도있는 논의를 펼쳤다.

 

한지학 전무는 국제 식량작물 생산비용 증가, 국내 식량 수요-공급의 구조적 문제, 주요 식량작물과 신품종 작물의 경쟁력 부족을 지적하며, “식량 공공비축과 해외 곡물 수입망 확충을 검토하고 농가 생산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계화고급화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사동민 교수는 기후위기에 따른 농산물 생산자원 부족과 농가의 경제적 손실 심화 현상을 지적하며, “기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농업부문별 및 지역단위별 세분화된 농업 대책과 기후영향 예측·평가 모델을 활용한 안정적 식량 생산 확보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김종인 연구위원은 , , 보리 등 주요 곡물의 생산 촉진 정책에도 불구하고 곡물 생산이 정체되어있다라며, 정책의 지속성·일관성과 함께 국제 곡물 가격 변동에 대한 장·단기적 대응 방안과 수입농산물 대비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대외협력홍보팀
  • 담당자 이동욱
  • 연락처 043-750-2348

포토뉴스 QR코드 https://www.kistep.re.kr/menu.es?mid=a10202010400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