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보관
보도자료
초지능시대의 인공지능 기반 혁신전략, 제154회 수요포럼 개최
- 등록자 이하영
- 등록일2023-02-07
- 분류행사
- 조회수376
□ 국내 인공지능 기술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정병선)은 <초지능시대의 인공지능 기반 혁신전략>이라는 주제로 제154회 KISTEP 수요포럼을 2월 8일(수) 14:00에 KISTEP 국제회의실(충북혁신도시 소재)에서 개최한다.
ㅇ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온라인 포럼으로 진행되며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된다.
* https://www.youtube.com/KISTEPTV (유튜브에서 ‘KISTEP’ 또는 ‘키스텝’ 검색)
□ 정병선 KISTEP 원장은 “인공지능은 잠재력만으로도 우리 산업의 근본적인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분야”라며 “다양한 연구 주체가 AI 기술개발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인력, 데이터 등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라며 포럼 개최 의의를 밝혔다.
□ 인공지능은 국가간 주요 경쟁분야이자 디지털 경제시대에 중요한 축으로 세계 주요국은 관련 정책과 비전을 경쟁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ㅇ 인공지능 글로벌 시장 규모는 향후 5년간 연평균 36.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4,07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 Markets and Markets(2022. 11)
ㅇ 특히 최근 AI연구개발 단체 ‘OpenAI’가 발표한 인공지능 챗봇 ‘ChatGPT’는 일반적인 답변은 물론 인간의 심리를 관통하는 답변을 내놓아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R&D 전략’(2018)과 ‘인공지능 국가 전략’(2019)을 발표했고, 윤석열 정부는 인공지능을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여 다른 분야와의 융합과 활용에 힘을 모으고 있다.
□ 주제발표를 맡은 황태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반도체·디스플레이 연구본부장은 인공지능 기술이 미래 산업경쟁력 확보의 필수 요소라며, 단순 하드웨어 성능향상에 앞서 응용 분야에 최적화된 기술이 중요하다고 제언한다.
ㅇ 유망 산업 분야에 최적화된 AI 기술 적용을 위해 산업 분야 기업들과 데이터 전문 기업,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참여한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투자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 이어지는 패널토론은 전승수 KISTEP 사업조정본부장의 진행으로 박외진 아크릴 대표이사, 문형돈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기술혁신본부장,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가 참여한다.
ㅇ 박외진 대표이사는 지속가능한 AI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 Google 등은 거대 인공지능 모델이 가진 환경 파괴 이슈에 대해 보고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중요하다고 주장한다.
ㅇ 문형돈 본부장은 인공지능 기술 적용 범위와 신뢰성을 확장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산업·공공 난제 해결로 국가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 뚜렷한 주도국이 없는 차세대AI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되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초거대 AI 등으로 급증하는 컴퓨팅 자원, 전력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에 최적화된 초고속·초저전력 반도체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ㅇ 임희석 교수는 방대한 양의 학습데이터와 컴퓨팅 자원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AIHub에 구축된 데이터가 국내외에서 가시성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AIHub를 이용한 우수한 연구들이 소개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인공지능 기술개발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과 기술개발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다고 제언한다. (끝)
메뉴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균 0.00점 /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