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보관
최신동정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온라인 공청회 개최
- 등록자전예리
- 등록일2023-02-22
- 조회수3,048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하 KISTEP)이 주관하는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온라인 공청회’가 2월 22일(수)에 개최되었다. 본 공청회는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을 발표하고, 산·학·연 전문가, 부처관계자 및 일반 국민의 자유로운 의견을 듣고자 마련된 자리이다.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1부 순서는 홍미영 KISTEP 사업조정전략센터장의 진행 아래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정병선 KISTEP 원장의 인사말로 막을 열었다.
▲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대내외적인 여건을 고려했을 때 과학기술 혁신에 대한 적재적소의 투자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이다”라고 말하며 “미래지향적인 투자 방향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이번 공청회에서 다양한 제안과 의견들이 제시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정병선 KISTEP 원장
정병선 KISTEP 원장은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은 내년도 예산을 마련하는 데에 큰 기준이 될 것”이라며, “예산 심의 진행 시 오늘 논의된 집단지성의 총합체가 우리의 국가연구개발 자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나침판 역할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오늘 참여하신 모든 분들의 귀한 지혜를 수렴하여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1부 공청회에서는 조현숙 과기정통부 연구예산총괄과장의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총괄 발표 이후 김두현 건국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산업계, 학계 출연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토론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총괄 발표를 통해 제시된 3대 분야 8대 중점투자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기술주권 확립과 미래성장기반 확충
① 기술패권경쟁에 대응하여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② 다양한 기초연구와 과학기술인재 자원을 통해 미래 혁신기반 확충
③ 경제안보 확립을 위한 글로벌 공급망 관련 선제적 투자 강화
2. 과학기술 기반 산업대전환 촉진
④ 디지털 대전환을 통한 국가 산업 전반의 생산성 혁신
⑤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미래기술확보 및 신성장동력化
⑥ 기업 주도 국가 혁신성장을 위한 도전적 투자 강화
3. 사회의 지속가능성 확충
⑦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의 자강적 혁신기반 조성
⑧ 사회 안전망 강화를 위한 정부R&D의 역할 확대
이어진 2부는 공공우주, 에너지 환경, 기계 소재, ICT 융합, 생명 의료, 기초 기반으로 구성된 기술분야 별 투자전략 발표와 전문위 별 심층 토론으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