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상단배너 0
주요 사업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주요 사업

이슈페이퍼

[2017-07]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 및 핵심 직무역량 수준 진단과 시사점

  • 등록자 이인혜
  • 등록일 2017-11-22
  • 분류 이슈페이퍼
  • 조회수 9,473

다운로드 미리보기

[2017-07]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 및 핵심 직무역량 수준 진단과 시사점
[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 및 핵심 직무역량 수준 진단과 시사점 ]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며 갖춰야 할 핵심 직무역량에도 큰 변화가 예상됨
- 자동화로 인해 기계가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할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나 창의성을 요구하는 업무, 감정을 인지하는 업무 등은 자동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
- 세계경제포럼(WEF)에서도 언급된 ?복합문제 해결역량?, ?창의성 등 인지역량?이 미래 우리가 갖춰야 할 핵심 직무역량이 될 것으로 예측

□ 하지만,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과 핵심 직무역량의 현재 수준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추세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인력의 핵심적인 수요주체인 기업이 요구하는 핵심 직무역량과 요구수준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어려움
- 산업계에서는 과학기술 인력의 스킬 미스매치가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있으나 재직과학기술 인력의 핵심역량 및 창의성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한 사례는 거의 전무하여 격차가 발생하는 역량의 내용과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움

□ 본 연구는 산업계의 관점에서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 및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요구수준과의 격차를 분석하여 창의적 과학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핵심역량의 개념, 국내외 사례 분석 등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핵심역량을 규정하고 창의성의 정의 및 속성, 영향 요인과 창의성,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정립
-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핵심역량 및 창의성을 격년 단위로 조사한 결과를 제시(2014, 2016)하고 지식, 스킬의 항목별 중요도,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현재 수준, 산업계 요구수준과의 격차 분석
-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 수준과 교육요구도(Borich index)를 활용한 지식과 스킬 측면의 교육요구도를 산출하여 진단 결과를 중심으로 주체별 정책방향을 제시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전략기획센터
  • 담당자 김다은
  • 연락처 043-750-2641

이슈페이퍼 QR코드 https://www.kistep.re.kr/menu.es?mid=a10306020000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