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발간물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KISTEP 발간물
사과플러스
과학기술이 더 착해졌어요!(a.k.a. 사회문제해결R&D)
2021년도 사회문제해결R&D 투자 현황 및 특징(KISTEP 사회혁신정책센터)
- 김지홍,이기준,김수연, 이승규-
※ 본 게시물은 이해하기 쉽게 풀어 쓴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과 '사회문제해결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일반시민들도 착한 과학기술이 중요하대요
◾ 정부도 더 착한 과학기술에 힘을 실어주고 있어요

◾'개인의 일상생활과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연구개발 활동'을 말합니다.
◾ 기존 R&D와 뭐가 다르지?
- 기존R&D가 국가전략과 경제성장을 위하여 연구개발자 중심으로 논문•특허 같은 기술개발을 했다면
- 사회문제해결R&D는 연구자뿐 아니라 일반국민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과학기술에 법•제도 등이 어우러져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 방법을 만들어내요.
◾사회문제해결R&D에도 '찐'이 있다(☞ 사회문제해결R&D 가이드라인 붙임1)
사회적 수요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면서 문제발굴과 해결과정에 현장수요자(문제수요자)가 참여하고, 문제현장에 연구성과를 적용하여 확산까지 하는 R&D를 현장적용형 사회문제해결R&D(a.k.a 찐 사회문제해결R&D)라고 해요.

‘21년 ’사회문제해결R&D‘ 예산은 1조 6천억(정부R&D예산 27.4조의 5.8%)으로 작년보다 1,428억(9.8%) 늘었났어요.
이 중 ’현장적용형 사회문제해결R&D(이하 '현작적용 해결R&D')’ 예산은 3.089억(100개)으로 정부 총 R&D예산(27.4조)의 1.1%, 해결R&D(1조 6천억)의 19.3% 수준으로 아직 많진 않지만 작년보다 1,119억(56.8%) 늘어났어요!

◾ 사회문제해결에 많이 투자한 부처 Top 5
(현장적용 해결R&D) ①과기부(567억, 현장적용 해결R&D 총 예산대비18%), ⓶복지부(516억, 17%), ⓷농진청(420억, 14%), ⓸농식품부(386억, 12%), ⓹산업부(340억, 11%) 순으로 상위 5개 부처 비중은 전체 현장적용 해결R&D 예산의 72.2%이에요.
◾ 예산 많이 받은 사회문제 분야 Top 4
- 국민안전을 위협한 각종 사회문제(코로나19, 기상재해 등)가 포함된 재난재해분야 예산이 작년보다 많이 늘어났어요.
- (현장적용 해결R&D) ① 재난재해(933억, 30.2%), ⓶ 환경(500억, 16.2%), ⓷ 건강(399억, 12.9%), ⓸ 생활안전(370억, 12.0%) 순으로 모든 분야에서 작년보다 예산이 증가했어요.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사회혁신정책팀
- 담당자 기지훈
- 연락처 043-750-2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