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발간물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KISTEP 발간물
위탁보고서
정형 R&D 사업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방안 연구
- 사업명 R&D 예비타당성조사 기반 강화 연구
- 과제명 정형 R&D사업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명 허종완
- 연구기간 2024-04-01 ~ 2024-11-29
- 보고서 유형
- 발행일 2024-11-28
- 발간번호
첨부파일
- (최종) KISTEP 위탁과제 최종보고서(BH24010-위탁1_인천대학교_허종완.pdf 다운로드
- 목적
- 대규모 정형 R&D 사업의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사업 성과를 제고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표임
- 주요내용
- 국내 대규모 R&D 사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관리체계 구축의 근거와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1) 국제 우수 사례 분석을 통한 관리체계 개발
● 미국 에너지부(DOE)의 Lehman Review와 NASA의 프로젝트 관리체계 사례를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의 성공 요인과 핵심 관리 요소를 파악하였음
● 이를 바탕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정형 R&D 관리체계 설계 방안을 도출하였음
(2) 국내 R&D 관리체계의 한계 극복
● 국내 R&D 사업의 리스크 관리, 독립적 평가,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음
● 체계적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와 독립적 검토 체계 강화, 성과 중심 접근을 포함한 새로운 관리 모델을 제안하였음
(3) 성과 기반 관리체계 구축
● 프로젝트의 성과를 정량적·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과 기반 관리체계를 도입하여, 실질적인 결과물을 도출하고 연구개발의 사회적·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설계하였음
(4) 정책 및 실행 가능 프레임워크 제안
● 국내 대규모 R&D 사업 관리에 적용 가능한 실행 지침과 정책 권고안을 개발하여, 정책 입안자와 연구관리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음 - 결론
- (1) 연구개발성과 활용 계획
국가 연구개발 정책 설계 및 실행
● 본 연구에서 제안된 체계적 관리모델을 통해, 대규모 공공 R&D 프로젝트의 기획, 집행, 평가, 환류 단계에서 표준화된 접근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
독립적 평가 시스템 구축
● DOE의 Lehman Review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R&D 프로젝트에서도 독립적 평가 체계를 도입해 프로젝트 관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강화할 수 있음
성과 중심 R&D 관리 체계 도입
● NASA의 TRL(기술 준비도 평가) 및 성과지표(KPI) 기반 관리 모델을 통해 R&D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도와 기술성숙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R&D 사업 리스크 관리 강화
● 연구 초기 단계부터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완화 전략을 설계하는 프로세스를 적용해, 대규모 R&D 사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음
산학연 협력 모델 활성화
● 민간 기업 및 학계와 협력을 통해 연구개발 성과를 상용화하고,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음
(2) 기대효과
정책적 기대효과
● 체계적이고 독립적인 평가 체계를 기반으로, 국가 R&D 사업의 관리 효율성을 강화하여 정책 신뢰도를 높임
● 객관적 평가 및 투명한 자원 관리로 예산 낭비를 방지하고, 대규모 프로젝트의 타당성과 성과를 극대화함
경제적 기대효과
● 제한된 예산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대규모 R&D 프로젝트의 투자 대비 성과를 극대화함
● 연구개발 성과의 상용화로 새로운 산업 창출 및 일자리 증가를 촉진함
과학적 기대효과
● 연구개발 성과를 기반으로 첨단 과학기술 개발 및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 독립적 평가와 성과 중심 관리 체계를 통해 고위험·고성과 프로젝트 성공률을 높임
사회적 기대 -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