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발간물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KISTEP 발간물
사업조정
NIS 관점에서의 국가 R&D 기술사업화 촉진 연구
- 사업명 (AM)과학기술혁신전략 기획‧분석 고도화연구
- 과제명 NIS 관점에서의 국가 R&D 기술사업화 촉진 연구
- 연구책임자명 황인영
- 연구기간 2021-01-01 ~ 2021-12-31
- 보고서 유형 최종보고서
- 발행일 2022-01-20
- 발간번호 기관2021-012
- 목적
- □ 국가혁신체계(NIS) 관점에서 국가 R&D 기술사업화 ①현황 진단 ②주요 쟁점 도출 및 ③성과 촉진을 위한 정책 대안 제시
○ 구조, 수요자 등 다각적 관점의 분석을 통해 국가 R&D 기술사업화 성과 촉진에 기여
○ 정량적·정성적 분석의 상호보완적 활용을 통한 분석방법론 고도화에 기여 - 주요내용
- □ 기술사업화 관련 이론적 논의 검토, 국내ㆍ해외 주요국 비교사례분석 및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방안 도출
□ (구조 관점) 퍼지셋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구조적 영향요인 분석
○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 데이터 수집 후 기술사업화 역량을 구성하는 지표들을 바탕으로 국가 기술사업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요인 분석
○ 분석결과 지식흡수 기반, 첨단기술 조달 등이 국가 기술사업화 역량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
□ (행위자 관점) IPA 분석을 통한 수요자 관점 핵심 영향요인 분석
○ 이슈 탐색(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핵심 영향요인 추출(체계적 문헌고찰), 영향요인 순위 도출(IPA 분석)을 통해 수요자 인식 중심 전략방안 도출
○ 타겟시장 규모 확대 및 활성화, 충분한 연구비 편성이 중점개선요인으로 도출되어 향후 시장, 연구비, 사업화 역량에 초점을 맞춘 수요자 중심 지원 정책 필요
□ (상호작용 관점) 행위자기반모델링을 통한 기술사업화 정책조합 시나리오 분석
○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시장 고도화 관련 정책조합(Policy Mix) 시나리오 기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혁신행위자 간 상호작용에 기반한 가상 행위자기반모형 구축
○ 분석 결과 기술정보 개방성 강화 정책이 기술가치평가 정확도 향상 정책보다 효과적이며,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부의 효과를 보이나 매우 미미한 수준임 - 결론
- □ NIS관점의 접근을 통해 기술사업화 관련 혁신생태계의 복잡성을 반영한 다차원적 현황 진단 및 정책대안 제시
○ 수요자 관점에서 시장 고도화 및 충분한 연구비 편성 등이 중점개선 과제임을 밝히고 관련 정책대안 제시
○ 기존에 간과되던 거시적 구조 접근 및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①지식흡수 기반 조성, ②혁신조달 고도화, ③시장 내 기술정보 개방성 강화 등의 필요성 제시
□ 이론적 의의
○ ①구조 ②행위자 ③상호작용으로 구성된 NIS 개념모형을 제시하여 향후 우리나라 NIS분석의 이론적 토대 마련에 기여하고자 함
○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실제로 기술사업화가 다양한 차원(구조, 행위자, 상호작용)이 상호연관된 복잡한 현상임을 실증적으로 제시
□ 방법론적 의의
○ NIS관점의 접근을 뒷받침하는 세 가지 차원의 정량적 접근 프로세스를 제시하여 향후 NIS분석 실무 시 참고 가능
○ 기술이전·사업화 정책실험이 가능한 행위자기반모형 구축을 통해 향후 타 정책실험 및 응용연구 활용 기대 - 비고
유사한 주제의 보고서
-
# 정부R&D정책 #기술사업화 #기술이전사무소 #신호 게임 #호텔링 모형
TLO 역할을 중심으로 한 기술사업화 성과제고 및 스케일업 방안 연구 손영주(R&D예산정책센터) 2024-02-27 -
#공공부문 #기술사업화 #협업 관리 #협업 유형 #사업화 역량
R&D 기술사업화 지원조직의 협력 제고 방안 연구 김주희, 김소라(성과확산센터) 2024-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