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발간물
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

KISTEP 발간물
사업조정
근거기반 과학기술협력 아젠다 발굴 고도화 연구
- 사업명 (AQ)과학기술혁신정책 글로벌 Think-Tank 역량 강화 연구
- 과제명 근거기반 과학기술협력 아젠다 발굴 고도화 연구
- 연구책임자명 조하나
- 연구기간 2023-03-01 ~ 2023-12-31
- 보고서 유형 최종보고서
- 발행일 2024-01-25
- 발간번호 기관2023-002
- 목적
- ○ 과학기술외교(Science Diplomacy) 기반 분석 틀 구축
○ 과학기술외교 특성 반영 정량적 지수 개발을 통한 국가 포지셔닝 비교·분석
○ 논문 성과 분석 방법론 효율성 개선을 통한 국가별 기술 포지셔닝 분석
○ 분석 결과 기반 시범국 전략적 과학기술 협력 아젠다 도출 - 주요내용
- ○ 과학기술외교역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구축
-AAAS의 과학외교(Science Diplomacy) 분류에 기반한 국가 과학기술외교역량지수 개발 틀 제시
○ 복합지수 기반 국가별 과학기술, 외교 역량 및 제반환경 분석 결과 비교
-UN, OECD, World Bank와 같은 공신력있는 국제기구에서 수집·공개하는 정량 지표들을 취합하여 과학기술외교역량의 세 가지 부문(과학기술, 외교, 제반환경)에 대해 OECD 36개 국가별 비교 연구 수행
○ 한국의 과학기술외교역량지수는 9위로 총 분석대상인 36개 국가들 중 상위권
-과학기술 부문은 5위, 외교 부문은 10위인 반면, 제반환경 부문은 21위로 과학기술·외교 역량에 비교하여 제반환경이 다소 부족
-미국은 전 부문에서 1위로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과학기술외교 전반에서 우수한 역량을 보유
-최상위와 최하위 국가들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과학기술, 외교, 제반환경 수준에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한 과학기술 협력 전략 필요
○ 인공지능 모델 활용 기술 분야별 주요 논문성과 DB 정제 과정 고도화를 통해 국가별 차이를 기존 대비 더 명확하게 반영
-단순한 원리의 K-Means 및 DBSCAN 알고리즘 기반 클러스터링 결과 유의미한 정제 성능 획득에 어려움 존재
-의미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하는 클러스터링 모델 Lbl2Vec로 이차전지 분야 4개 중점기술에 대한 논문 DB 정제 진행
-정제된 DB 활용 주요국 연구성과 포지셔닝 진행 결과 정제 이전 대비 국가별 논문 성과 특성 구체화
○ 시범 분석 대상국 과학기술외교역량지수 및 논문 분석 고도화 결과를 활용한 과학기술 협력 아젠다 실증 분석
-과학기술외교역량지수 및 논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을 협력 아젠다 도출 시범국으로 선정
○ 주요 협력 아젠다
1. 과학을 위한 외교
-한국은 뛰어난 이차전지 분야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국제 공동연구협력 수준이 낮은 편(국제공저자 13위, 국제공동특허 16위). 국내 우수 연구자들과 미국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 확대 장려를 위한 지원 필요
-배터리 효율 향상을 위한 시스템 기술 개발, 안전성·내구성 개선을 위한 차세대 전지 소재 분야의 지원을 확대하고 원료 및 소재 자립화를 위해 새로운 원료 공급망 발굴에 관해 논의를 제안
-한국의 국제학생모빌리티는 30위로, 미국 1위에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순위.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 및 관련 분야 공동연구를 위한 인력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해 해외 우수 연구자 유입을 적극 장려하고 국내 입국 절차 과정의 간소화와 장기 거주환경 편의성 제고 필요
2. 외교 속의 과학
-한국의 ISO 기술위원 수는 세계 5위로 표준화 관련 국제 영향력이 우수한 편. 한국의 배터리 연구역량과 표준화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개발의 표준화 전략 수립 협력 제안
-이차전지 관련 대표적인 국제기구인 IEA의 기술협력 프로그램 (에너지저장분과/ES-TCP)과 같은 활동에 적극 참여 유도
3. 외교를 위한 과학
-한국 외교역량은 10위이지만 과학기술역량 5위로 이를 활용한 미국과의 첨단기술 동맹을 강화하고 가치 공유를 위한 연대 필요
-한국의 보유한 이차전지 모듈.시스템 기술력과 배터리 양산 및 응용기술 개발 능력을 결합하여 전략적 파트너로서 미국과의 관계 강화
-중국의 배터리 필수 광물 공급망 (1차 가공 화합물, 특히 리튬화합물) 장악에 대비한 공급망 의존도 감소 방안 논의 - 결론
- ○ 전략적 과학기술협력 추진을 위해 과기공동위, 정상회담 등 진행 과정에서 상대국에 대한 다방면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아젠다 발굴 과정에 활용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론을 과학기술 외교 전략·정책 수립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신규 국제협력 과제·사업 추진 과정에서 근거 자료로 활용 기대
○ 인공지능 기반 DB 정제 과정 구축을 통한 정량적 근거 기반 아젠다 발굴의 시간적·인적 비용 획기적 감소 및 글로벌 이슈에 대응한 신속한 과학기술협력 아젠다 분석·발굴 등에 다각적인 활용 기대 - 비고
유사한 주제의 보고서
-
#과학기술외교 #과학기술 국제협력 #국제협력전략 #과학기술협력 아젠다
과학기술외교 추진전략 및 체계기반 구축연구 김혜나(글로벌R&D협력센터) 2025-02-03 -
#과학기술외교 #과학기술외교인재 #과학기술외교역량 #교육훈련
2024년 과학기술외교 아카데미 구축·운영 최숙정(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2024-10-31